콩과 184

갯활량나물(1)

활량나물(1) (Lathyrus와 Vicia의 구별)https://daehyo49.tistory.com/7809558활량나물(2)https://daehyo49.tistory.com/7813988갯활량나물(1)https://daehyo49.tistory.com/7812056 Thermopsis속은 수술대가 유리하고, Lathyrus와 Vicia는 수술대가 기부에서 동합하여 통을 이룬다   학명 : (구) Thermopsis lupinoides (L.) Link /(신) (FOC) Thermopsis fabacea (Pallas) Candolle          (WFO) Thermopsis lanceolata R.Br.분류 : 콩과(Fabaceae) 일어명: センダイハギ(先代萩)중국어명: 野决明   학명 ..

콩과 2018.06.15

잔디갈고리(된장풀과 잔디갈고리 비교)

학명 : Desmodium heterocarpon (L.) DC. 분류 : 콩과(Leguminosae) 일어명 : シバハギ(芝萩) 중국어명 : 假地豆 사진: 2017. 09.16 제주도 국가생물종지식정보시스템 잎 잎은 호생하며 엽병이 짧고 3출복엽,이며 소엽은 도란형 또는 타원형이고 길이 1.5~4cm, 나비 1-2cm로서 끝이 둥글거나 오목하게 들어가며 탁엽은 피침형이고 길이 8-12mm로서 끝이 뾰족해지며 맥이 많다. 열매 열매는 협과, 4~6개의 마디, 길이 15mm, 곧게 서고, 갈고리 모양의 털이 밀생함 꽃 꽃은 9-10월에 피고 길이 4~5mm로서 홍자색이며 총상화서에 달리고 화서는 길이 6~8cm로서 퍼진 털이 있으며 포는 좁은 난형이고 떨어진다. 꽃받침은 깊게 난형으로 갈라지며 열편은 피침..

콩과 2017.11.01

여우콩

야생의 콩 종류와 팥 종류 비교 http://blog.daum.net/daehyo/7807501 학명 : Rhynchosia volubilis Lour. 분류 : 콩과(Leguminosae) 일어명 : タンキリマメ(痰切豆) 중국명 : 鹿藿 학명 풀이: Rhychosia ; 그리스어 rhynchos 'beak'로 꽃의 용골판 모양을 가리킴 volubilis: twining 사진: 2017.09.16 제주도 아래: 2017.09.17 제주도 아래: 2019.01.18 제주도 도두봉 아래: 2020.08.24 제주도 김녕해수욕장 잎에는 털이 밀생하고 뒷면에는 선점이 있다 줄기는 하향한 짧은 털로 덮여 있다 국가생물종지식정보시스템 잎 잎은 호생하고 긴 엽병 끝에 3개의 소엽이 달리며 소엽은 도란형 또는 도란상 ..

콩과 2017.10.31

동부 종류 (2)

학명 : Vigna unguiculata (L.) Walp. 분류 : 콩과 (Fabaceae) http://blog.daum.net/daehyo/7811622에서 소개한 동부는 꼬투리가 직립(또는 비스듬하게 위로 경사)하여 달렸지만 아래의 동부는 꼬투리가 밑으로 늘어졌다. 국생지 생육환경 저온에 약하고 특히 야간온도가 낮으면 생육이 불량하다. 동부의 생육적온은 20 ~ 35℃로써 27℃내외가 가장 알맞다. 꽃 꽃은 구조가 콩꽃과 비슷하지만 크기가 훨씬 크고 협과는 원통형으로 미숙시에는 녹색이지만 성숙하면 씨와 비슷한 색깔을 띠게 된다.

콩과 2017.10.26

산새콩

산새콩https://daehyo49.tistory.com/7811668연리초속 Lathyrus 종 검색표 https://daehyo49.tistory.com/7808681  학명 : Lathyrus vaniotii H.Lev.분류 : 콩과(Leguminosae)중국어명 : 东北山黧(검을 리, 려)豆사진: 2017.09.24 정선           덩굴손 대신  소돌기가 있다     망상맥이 뚜렷하다      탁엽은 중국식물지에서 반극형, 송곳형, 또는  선형 등이다라고 설명   아래: 2018.06.13  강원도 모님 집 정원              아래 : 2024.04.14 여주 황학산수목원      국가생물종지식정보시스템   잎 잎은 3-5쌍의 소엽으로 구성된 1회우상복엽으로서 정소엽이 소돌기로 퇴..

콩과 2017.10.05

동부 종류 추정(1)(동부와 돌동부 비교)

새팥(2) https://daehyo49.tistory.com/7815503 새팥(1)(야생의 콩 종류와 팥 종류 비교하기) https://daehyo49.tistory.com/7807501 팥(1) https://daehyo49.tistory.com/7808108 좀돌팥(1)(좀돌팥과 새팥의 비교) https://daehyo49.tistory.com/7810609 돌동부(1) https://daehyo49.tistory.com/7810575 동부 종류 추정(1) https://daehyo49.tistory.com/7811622 학명: Vigna unguiculata (L.) Walp. 분류; 콩과(Fabaceae) 일어명 : ササゲ(大角豆) 아래의 아종 검색표를 보면 Vigna unguiculata s..

콩과 2017.09.13

여우팥

학명 : Dunbaria villosa (Thunb.) Makino분류 : 콩과(Leguminosae)일어명 : ノアズキ(野小豆)중국어 명 : 野扁豆        사진: 2017.09.01 부안 청호리        아래: 2017.09.16  제주도              아래: 2020.08.22 제주도 흐린내생태공원   아래 : 2024.08.26 제주 흐린내생태공원       국가생물종지식정보시스템잎 잎은 호생하며 3출엽으로서 엽병이 길고 비스듬히 선 짧은 털이 밀생하며 뒷면에 적갈색 선점이 있고 정소엽은 사각형 비슷하며 길이와 나비가 각 1.5-3cm로서 끝이 뾰족해지다가 둔해진다. 탁엽은 좁은 난상 삼각형이고 끝이 뾰족하며 길이 2mm로서 털이 있고 소탁엽은 극히 작다.열매 협과는 편평한 선형이..

콩과 2017.09.13

왕관갈퀴나물(1)(근연속 검색표/왕관갈퀴나물, 묏황기, 황기 열매 비교)

왕관갈퀴나물(2) https://daehyo49.tistory.com/7815264 왕관갈퀴나물(1)(근연속 검색표/왕관갈퀴나물, 묏황기, 황기 열매 비교) https://daehyo49.tistory.com/7811411 학명: Securigera varia (L.) Lassen 분류: Fabaceae 사진: 2017.05.04 한강 아래: 2017.05.08 위와 동일 장소 아래 : 2022.06.22 안산갈대습지공원 아래 : 2022.06.24 서강대교 한강변 아래 : 2023.06.06 한강 여의도 세밀화 분류군 기재 덩굴성 다년생 초본, 길이 30-120cm이며 많은 가지가 모여서 나고 전체에 털이 없다. 잎은 기수우상복엽으로 15-25개의 소엽으로 이루어진다. 소엽은 타원형으로 끝이 뭉툭하거나..

콩과 2017.05.06

들완두

학명 : Vicia bungei Ohwi분류 : 콩과(Fabaceae=Leguminosae)    사진: 2017.04.27 한강       들완두는 우선 꽃이 보통 4개 이내로 적게 달린다. 벌완두는 15-30개 달린다                          탁엽은 뾰족하게 갈라진다                           아래: 2017.05.08 한강              소엽은 5쌍 이내, 벌완두는 5-8쌍       측맥의 각도는 30도 정도               들완두와 벌완두 비교  Vicia들완두 bungei벌완두amurensis소엽2-5쌍(FOC: 3-5쌍) 5-8쌍(FOC : 3-6쌍)꽃받침  꽃 개수3개 정도[FOC :2-4(-5)개]15-30개(FOC)기타 언급소화경..

콩과 2017.04.27

낭아초 (낭아초와 큰낭아초 비교)

큰낭아초(2) https://daehyo49.tistory.com/7815320 큰낭아초(1) https://daehyo49.tistory.com/7809435 낭아초와 큰낭아초 https://daehyo49.tistory.com/7811489 낭아초 (낭아초와 큰낭아초 비교) https://daehyo49.tistory.com/7811242 남가새로 보았던 것이니 풀꽃나무광님의 지적에 따라 낭아초로 바로잡는다 남가새는 우수우상복엽이다. 학명: (일본) Indigofera pseudotinctoria Matsum./ (FOC) Indigofera bungeana Walpers * FOC에서는 오른쪽을 정명으로 왼쪽을 이명으로 처리하고 있다 일본에서는 반대로 왼쪽이 정명이 되어 있다. 일본에서는 Indig..

콩과 2017.02.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