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삼과 105

미국외풀(1)(외풀 종류 비교)

미국외풀(1)(외풀 종류 비교)https://daehyo49.tistory.com/7815261미국외풀과 가는미국외풀(1)https://daehyo49.tistory.com/7809446     학명 : Lindernia dubia (L.) Pennell 분류 : Scrophulariaceae 학명 이명: Lindernia attenuata Muhl종전에는 Lindernia dubia (L.) Pennell와 Lindernia attenuata Muhl를 구분하여   Lindernia attenuata Muhl만을 미국외풀로 하였으나(박수현: 한국귀화식물도감) 현재는 통합되었다.학명풀이: Lindernia: 18세기 독일식물학자  Franz Balthasar von Lindern의 이름에서dubia:  ..

현삼과 2023.06.17

큰물칭개나물(2)

큰물칭개나물(1) (검색표) https://daehyo49.tistory.com/7808524 큰물칭개나물(2) https://daehyo49.tistory.com/7815128 물칭개나물(1) https://daehyo49.tistory.com/7809449 물칭개나물(2) https://daehyo49.tistory.com/7810047 미국물칭개나물 https://daehyo49.tistory.com/7812868 학명: Veronica anagallisaquatica L. 분류: 현삼과(Scrophulariaceae) 학명 풀이: Veronica: Named for Saint Veronica anagallisaquatica: aquatic pimpernel(물에 사는 나도개별꽃) 사진 : 2023..

현삼과 2023.05.08

선주름잎

누운주름잎 https://daehyo49.tistory.com/7814446 주름잎(1) https://daehyo49.tistory.com/7807918 주름잎(2) https://daehyo49.tistory.com/7808582 주름잎(3) https://daehyo49.tistory.com/7815206 선주름잎 https://daehyo49.tistory.com/7815079 학명 : Mazus stachydifolius (Turcz.) Maxim 분류 : 현삼과 (Scrophulariaceae) 일어명 : タチサギゴケ 영어명 : Betony-leaf mazus. 아래:: 2020.09.03 창동 아래: 2021.05.31 노을공원 아래 : 2021.06.14 평화공원 아래 : 203.04.26..

현삼과 2023.04.27

문모초(2)

문모초(1) https://daehyo49.tistory.com/7808526 문모초(2) https://daehyo49.tistory.com/7815069 학명: Veronica peregrina L. 분류: 현삼과(Scrophulariaceae) 국명 이명: 벌레풀 학명 풀이: peregrina: foreign 일어명: ムシクサ 사진 : 2023.04.07 파주 진동 아래 : 2023.05.07 청평 한강 아래 : 2023.04.24 한강대교 설명: 잎 잎은 엽병이 없으며 줄기 하부에서 대생하고 상부에서는 호생하며 길이 1.5~2cm, 폭 3~5mm로서 좁고 긴 타원형이고 끝이 둔하며, 가장자리에 2~3개의 둔한 톱니가 약간 있거나 밋밋하다. 열매 삭과는 편원형이고 끝이 오목하며 길이 2~3mm, 폭..

현삼과 2023.04.19

큰개현삼(3)

큰개현삼(3)https://daehyo49.tistory.com/7815014큰개현삼(2)https://daehyo49.tistory.com/7814112큰개현삼(1) (현삼속Scrophularia 종 검색표)https://daehyo49.tistory.com/7807580토현삼https://daehyo49.tistory.com/7812049  학명: Scrophularia kakudensis Franch.분류: 현삼과( Scrophulariaceae)    사진 : 2023.04.02 홍릉수목원  큰개현삼과 토현삼은 잎으로는 구별이 어렵다. 꽃이 생겨야 구별이 된다. 홍릉수목원의 것은 큰개현삼이다큰개현삼은 악편이 넓고 악편의 높이와 기부 폭이 비슷하며 끝은 둔두이며 토현삼은 악편이 좁고 악편의 높이가 ..

현삼과 2023.04.05

큰개불알풀(=큰봄까치꽃)(2)

큰개불알풀(1) https://daehyo49.tistory.com/7807974 큰개불알풀(2) https://daehyo49.tistory.com/7814988 개불알풀 종류 비교표와 검색표 https://daehyo49.tistory.com/7809308 개불알풀 종류 열매, 종자 비교(비공개) https://daehyo49.tistory.com/7812732 학명: Veronica persica Poir. 분류: 현삼과(Scrophulariaceae 사진 : 2023.04.01 인천수목원 아래 : 2024.03.21 김포한강야생조류생태공원 아래 : 2024.04.02 난지도 수술 2개, 암술 1개 설명: 잎 잎은 밑부분에서는 대생하고 윗부분에서는 호생하며 삼각형 또는 난상 삼각형이고 밑부분의 것은..

현삼과 2023.04.02

누운주름잎

누운주름잎 https://daehyo49.tistory.com/7814446 주름잎(1) https://daehyo49.tistory.com/7807918 주름잎(2) https://daehyo49.tistory.com/7808582 주름잎(3) https://daehyo49.tistory.com/7815206 선주름잎 https://daehyo49.tistory.com/7815079 학명 : Mazus miquelii Makino 분류 : 현삼과 (Scrophulariaceae) 일어명 : ムラサキサギゴケ 사진 : 2022.12.22 화성우리꽃식물원 포복지가 있다 전체적으로 거의 털이 없다 아래 : 2023.05.16 고양시 국생지 분포 전국 각처에 분포한다. 형태 여러해살이풀이다. 생육환경 논두렁이나..

현삼과 2023.01.05

냉초(3)

냉초(1) http://blog.daum.net/daehyo/7807403 냉초(2) https://daehyo49.tistory.com/7810121 냉초(3) https://daehyo49.tistory.com/7814165 학명: Veronicastrum sibiricum (L.) Pennell 분류: 현삼과(Scrophulariaceae) 사진 : 2022.10.28 푸픈수목원 아래 : 2022.10.30 인천수목원 종자 크기에 대한 기재는 보이지 않는다. 0.5mm 정도로 보인다 아래 : 2023.06.18 인천수목원 국생지 분포 일본, 훗카이도, 만주, 중국, 시베리아에 분포한다. 강원(설악산), 평북, 함남, 함북에 야생한다. 형태 여러해살이풀 생육환경 산지의 약간 습기가 있는 곳에서 자란다..

현삼과 2022.11.20

큰개현삼(2)

큰개현삼(1) (현삼속Scrophularia 종 검색표) https://daehyo49.tistory.com/7807580 큰개현삼(2) https://daehyo49.tistory.com/7814112 큰개현삼(3) https://daehyo49.tistory.com/7815014 토현삼 https://daehyo49.tistory.com/7812049 학명: Scrophularia kakudensis Franch. 분류: 현삼과( Scrophulariaceae) 사진 : 2022.10.18 물향기수목원 : 잎 잎은 대생하고 엽병이 있으며 긴 난형으로서 예첨두이고 절저 또는 예저이며 길이 6~10cm, 폭 3~5cm로서 가장자리에 톱니가 있다. 열매 삭과는 난형으로서 지름 5~8mm이고 2개로 갈라지면..

현삼과 2022.11.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