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 7735

솔방울골(2)

솔방울골(2)https://daehyo49.tistory.com/7816279솔방울골(1)https://daehyo49.tistory.com/7809713  학명 : Scirpus mitsukurianus Makino분류 : 사초과 (Cyperaceae)  사진 : 2024.07.15 무의도  솔방울골은 아래와 같이 화서지가 약간 아래로 처진다. 이에 대해 솔방울고랭이는 화서지가 직립또는 경사한다     국생지 형태다년생. 총생한다. 줄기 높이 1.8m까지 자라고, 단면은 둥근 삼릉형이며, 마디는 5-7개이다. 잎 뻣뻣하고, 엽신은 선형이며, 너비는 4-8mm, 가장자리가 까끌거린다. 포엽 정생화서에는 3-5개가 달리고, 이 중 아래쪽 포엽 2-3개는 화서보다 길이가 길다. 화서 정생화서 외에도 2-3개..

사초과 2024.08.19

그령(2)

그령(2)https://daehyo49.tistory.com/7816277그령(1)(그령속 Eragrostis 종 검색표)https://daehyo49.tistory.com/7808293그령족 검색표 https://daehyo49.tistory.com/7809630    학명: Eragrostis ferruginea (Thunb.) P.Beauv.분류: Paceae/ Chloridoideae/ Eragrostideae/Eragrostis우리말 이명: 암크령 학명 풀이:Eragrostis: Love grassferruginea: Rust-colored  사진 : 2024.07.14  창동    엽초 구부에 털이 조밀하고 엽설은 털로 되어 있다     아래 : 2024.07.30 도봉구      국생지 분포..

벼과 2024.08.15

Fraxinus sp.

학명 : Fraxinus sp.분류 : 물푸레나무과(Oleaceae) 사진 : 2024.07.12 서천국립생태원 이름표가 붙지 않아 종명을 붙일 수 없다. 이국에서 들여온 Fraxinus속은 분류 키를 알 수 없다이미지 검색으로는 Fraxinus pensylvanica (국표식 등재 국명 : 붉은물푸레나무)가 제일 가까워보인다         참고 재배종Fraxinus 속의 몇 개 종 1) Fraxinus pensylvanica (붉은물푸레나무; Green Ash, Red Ash) 소엽 5-9장(보통 7장) 소엽 상반부에 톱니2) Fraxinus excelsior (European Ash)* 국표식에 등재된 국명은 '구주물푸레나무'이나 적당하지 않은 국명이다. '구주' 이름이 들어간 것은 '구주피나무'가 ..

물푸레나무과 2024.08.14

나도히초미(2)

나도히초미(2)https://daehyo49.tistory.com/7816272나도히초미(1)https://daehyo49.tistory.com/7814246긴개관중(나도히초미와 긴개관중 비교) (비공개)https://daehyo49.tistory.com/7811928나도히초미와 긴개관중 비교(비공개)https://daehyo49.tistory.com/7811512관중과 속 검색표https://daehyo49.tistory.com/7811598나도히초미속 종 비교표/종 검색표https://daehyo49.tistory.com/7810849   학명 : Polystichum polyblepharum (Roem. ex Kunze) C. Presl분류 : 관중과(Dryopteridaceae)     시진 : ..

양치식물 2024.08.14

방울꽃(2)

방울꽃(2)https://daehyo49.tistory.com/7816271방울꽃(1)https://daehyo49.tistory.com/7812776  학명 : Strobilanthes oligantha Miq.분류 : 쥐꼬리망초과 (Acanthaceae)일어명 : スズムシバナ(鈴虫花)중국어명 : 少花马蓝학명 풀이 :Strobilanthes: Cone floweroligantha : 꽃이 적은  사진 : 2024.07.12 서천국립생태원 온실의 물 흐르는 도랑 옆에 식재되어 있었다. 국생지에 생육환경이 '물가 그늘'로 기재되어 있다   .   잎은 대생; 광난형-타원형에 설저, 둔거치, 점첨두이다; 양면에 털이 있다            국생지 설명 분포제주도에 분포한다.형태여러해살이풀이다.생육환경물가 ..

쥐꼬리망초과 2024.08.13

Hymenocallis caribaea (카리브거미백합)

Hymenocallis speciosa (거미백합)https://daehyo49.tistory.com/7814632Hymenocallis caribaea (카리브거미백합)https://daehyo49.tistory.com/7816270   학명 : Hymenocallis caribaea (L.) Herb.분류 : 수선화과(Amaryllidaceae)Common name : Caribbean spider-lily or variegated spider-lily 사진  : 2024.07.12 서천국립생태원      From Wikipedia, the free encyclopediaCaribbean spider-lily   Hymenocallis caribaea (commonly known as the Cari..

흑판수(추정)

학명 : Alstonia scholaris (L.) R.Br.분류 : 협죽도과(Apocynaceae)국표식 등재명 : 흑판수대만 중국어명 : 黑板樹중국어명 :  糖胶树Common Names:  blackboard tree, scholar tree, milkwood or devil's tree   사진 : 2024.07.12 국립생태원  아래 세밀화를 보면 많은 측맹이 있다, 기재문에 lateral veins 25-50 pairs, at 80-90° to midvein이라고 나오는데 위의 사진에서도 좀 흐릿하지만 많은 측맥이 보인다    lateral veins 25-50 pairs, at 80-90° to midvein.       아래 : 캐논 사진       FOC Alstonia scholaris ..

Glycosmis parviflora

학명 : Glycosmis parviflora (Sims) Little분류 : 운향과(Rutaceae)   사진 : 2024.07.12 서천국립생태원   유사분류군으로 Glycosmis pentaphylla가 있는데 Glycosmis pentaphylla 는 엽연이 소예거치이고 Glycosmis parviflora는 엽연이 전연인 것이 FOC  기재문 상의 차이이다   엽연은 전연이다    언급은 안되어 있지만 열매는 대체로 간격이 성글게 달리는 것으로 보인다      캐논 사진        기타  Glycosmis parviflora (Sims) Little,   사진 참조 사이트https://koma33.web.fc2.com/hanasin.htmlhttps://powo.science.kew.org/t..

푸른갯골풀(2)

푸른갯골풀(2)https://daehyo49.tistory.com/7816267푸른갯골풀(1)https://daehyo49.tistory.com/7810099참비녀골풀 (1) (골풀 종류 비교표/ 검색표)https://daehyo49.tistory.com/7811231 학명 : Juncus setchuensis Bukenaua분류 : 골풀과(Juncaceae)   사진 : 2024.07.12 서천국립생태원      골풀과 비슷하나 다음과 같은 차이가 있다골풀: 줄기의 세로 능선이 불분명하다. 삭과는 삼실이다푸른갯골풀 : 줄기의 세로 능선이 뚜렷하다. 삭과는 가삼실이다    국생지 형태다년생, 높이 69~81cm, 밀집하여 포기를 이룬다. 지하경은 길게 뻗고, 마디가 짧으며 가지를 많이 친다. 줄기는 원통..

골풀과 2024.08.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