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10 43

육계나무(2)

육계나무와 생달나무 비교(비공개)https://daehyo49.tistory.com/7811280육계나무(2)https://daehyo49.tistory.com/7816375육계나무(1)https://daehyo49.tistory.com/7810291  학명 : Cinnamomum loureiroi Nees분류 : 녹나무과 (Lauraceae)  사진 : 2024.10.24 여주 황학산수목원  기재문 상으로는 분명한 언급은 없지만 사진상으로는 잎 뒷면, 앞면 , 그리고 엽병에 미세모(복모)가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생달나무는 털이 없다    국생지분포우리 나라 제주특별자치도에 재식한다.생육환경▶음지, 양지 모두에서 자라며 유묘시 음수이나 성목이 되면 광을 요구한다. 습윤하고 토심이 깊고 비옥도가 높은 적윤..

녹나무과 2024.10.31

호자덩굴(2)

호자덩굴(2)https://daehyo49.tistory.com/7816374호자덩굴(1)https://daehyo49.tistory.com/7809894  학명 : Mitchella undulata Siebold & Zucc.분류 : 꼭두서니과 (Rubiaceae)중국어명 : 蔓虎刺  사진 : 2024.10.24 여주 황학산수목원    잎은 대생, 삼각상난형으로  엽질이 두텁다   국생지  분포일본, 중국 남부 등 / 울릉도, 제주특별자치도와 다도해 도서지방에 분포한다.생육환경섬의 숲 속에서 자란다.생육형상록 다년초크기5~15cm잎잎은 마주나기하고 질이 두터우며 삼각상 달걀모양이고 길이 1~1.5cm, 폭 7~12mm로서 끝이 뾰족하거나 둔하며 밑부분이 둥글고 양면에 털이 없으며 가장자리가 다소 물결모..

왕별꽃(2)

왕별꽃(2)https://daehyo49.tistory.com/7816373 왕별꽃(1)https://daehyo49.tistory.com/7811046별꽃 종류 검색표(초록별꽃)https://daehyo49.tistory.com/7812701별꽃속 종 검색표(별꽃(1))https://daehyo49.tistory.com/7810297  학명 : Stellaria radians L.분류 : 석죽과(Caryophyllaceae)일어명 : エゾオオヤマハコベ(蝦夷大山繁縷)중국어명 : 繸瓣繁缕(수판번루)학명 풀이: Stellaria : star-likeradians : radiating outward 사진 : 20 19.10. 26  경기도 모처          잎의 기부는 설저  잎 표면 (확대)  잎 뒷면 ..

석죽과 2024.10.30

누른애기족제비고사리(3)

누른애기족제비고사리(3)https://daehyo49.tistory.com/7816372누른애기족제비고사리(2)https://daehyo49.tistory.com/7816219누른애기족제비고사리(1)https://daehyo49.tistory.com/7816218 학명 : Dryopteris kobayashii Kitag.분류 : 관중과(Dryopteridaceae)일어명 : リョウトウイタチシダ  사진 : 2024.10.24 여주황학산산림욕장 광릉수목원에서 본 것과 거의 같아 누른애기족제비고사리로 동정한다  누른애기족제비고사리 엽신은 좁은 삼각상으로길이/폭= 3/2-2/1)이고 우편 선단은 휘고 둔두애기족제비고사리 엽신은 오각상으로 길이/폭=4/3-3/2이고우편 선단은 곧고 예두   소우축에는 낭상인편이..

양치식물 2024.10.29

꽃싸리

학명 : Campylotropis macrocarpa (Bunge) Rehder분류 : 콩과 (Fabaceae)일어명 : ハナハギ(花萩)중국어명 : 杭子梢(항자초) 참조 사이트https://matsue-hana.com/hana/hanahagi.html 사진 : 2024.10.24 여주 황학산수목원   꽃싸리는 화서의 각 마디에 꽃이 1개 달리고 싸리는 2개씩 달린다꽃싸리는 꽃자루에 관절이 있고 싸리는 관절이 없다라고 되어 있다. 사진 상으로는 분명치 않은데 일부 꽃자루에 관절이 보이는 것 같다       국생지 형태낙엽활엽성관목, 수형:원개형분포경남의 성주, 경북일원의 야산에서 자라며 중국과 만주에도 분포한다.생육환경내한성이 강하고 햇빛이 잘 들며 토양은 특별히 가리지 않으나 배수성이 뛰어난 사질 양토에..

콩과 2024.10.29

감태나무(3)

기름나무(생강나무속 검색표)https://daehyo49.tistory.com/7807802감태나무(3)https://daehyo49.tistory.com/7816370감태나무(2)https://daehyo49.tistory.com/7814137감태나무(1)https://daehyo49.tistory.com/7807644  학명 : Lindera glauca (Siebold & Zucc.) Blume분류 : 녹나무과 (Lauraceae) 사진 : 2024.10.24 광릉수목원    국생지 형태수형: 원개형분포충청남도 이남(전라남북도, 경상남도, 제주특별자치도)해외분포일본, 중국생육환경▶산록 양지에서 자란다.▶내한성과 내건성, 내조성이 강하며, 양수이나 음지에서도 자란다. 대기오염에 대한 저항성도 강하다...

녹나무과 2024.10.29

참회나무(2)

참회나무(2)https://daehyo49.tistory.com/7816369참회나무(1)(회나무와 참회나무의 구별 문제)https://daehyo49.tistory.com/7808213회나무(2)https://daehyo49.tistory.com/7815641회나무(1)https://daehyo49.tistory.com/7807896 학명 : Euonymus oxyphyllus Miq.분류 : 노박덩굴과 (Celastraceae) 사진 : 2024.10.26 남한산성     국생지분포중국, 대만, 일본, 러시아 사할린 / 전국적(함경남도는 분포하지 않는 것으로 알려짐) 분포.생육환경산 중턱 및 산골짜기에 난다.생육형낙엽 활엽 관목 또는 소교목.잎잎은 마주나기하며, 달걀형 또는 거꿀달걀형, 점첨두 또는 ..

노박덩굴과 2024.10.29

돌외(2)

돌외(2)https://daehyo49.tistory.com/7816368돌외(1)(돌외와 거지덩굴 비교)https://daehyo49.tistory.com/7810036거지덩굴https://daehyo49.tistory.com/7808246 학명 : Gynostemma pentaphyllum (Thunb.) Makino분류 : 박과 (Cucurbitaceae)중국어명 : 绞股蓝일어명 : アマチャヅル(甘茶蔓)   사진 : 2024.10.26 남한산성    암수딴그루이다   열매에 횡선이 보이나 비열개과이다  Fruit indehiscent, black when mature, globose, 5-6 mm in diam., 2-seeded, glabrous위의 사진에서는 종자가 3개 들은 것도 보인다    ..

박과 2024.10.28

갈고리네잎갈퀴(3)

전에는 한동안 큰잎갈퀴로 동정해오던  것으로 보이나 요즘은 갈고리네잎갈퀴로 보는 것 같다 갈고리네잎갈퀴(3)https://daehyo49.tistory.com/7816367갈고리네잎갈퀴(2)https://daehyo49.tistory.com/7813728갈고리네잎갈퀴(1)(4-6윤생 Galium 종들 비교표)https://daehyo49.tistory.com/7810804네잎갈퀴(좀네잎갈퀴)https://daehyo49.tistory.com/7814144 국생지 학명 : Galium pseudoasprellum MakinoFOC 학명 : Galium dahuricum var. lasiocarpum (Makino) Nakai분류 : 꼭두서니과 (Rubiaceae)중국어명 : 东北猪殃殃(동북저앙앙)일어명 ..

비녀골풀(3)

비녀골풀(3)https://daehyo49.tistory.com/7816366비녀골풀(2)https://daehyo49.tistory.com/7813168비녀골풀(1)https://daehyo49.tistory.com/7812494골풀 종류 비교 / 검색표 https://daehyo49.tistory.com/7811231 학명 : Juncus krameri Franch. & Sav. 분류 : 골풀과(Juncaceae)  사진 : 2024.08.02 파주 장단 노상리  지하경은 옆으로 벋고 절간은 장절간이다. 청비녀골풀은 지하경이 포복경이다  꽃은 4-6개의 꽃이 달린 밀집화로 밀집화는 46-72개 달린다   엽이는 막질로 둔두이고 엽초에서 약간 돌출한다. 위의 사진으로는 엽초 끝에 희미하게 보인다  비녀..

골풀과 2024.10.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