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극과 36

조도만두나무(1)

조도만두나무(1) https://daehyo49.tistory.com/7809906 조도만두나무(2) https://daehyo49.tistory.com/7815132 조도만두나무 겨울눈 https://daehyo49.tistory.com/7814594 학명: Glochidion chodoense J.S.Lee & H.T.Im 분류: 대극과(Euphorbiaceae) 학명 풀이: Glochidion: From the Greek glochis (a projected point); refers to the staminal column of the male flowers 사진: 2013.03.17 진도 아래: 2019.04.14 모처 아래 : 2022.07.29 세종식물원 잎은 장타원형. 엽병은 1-2mm 동..

대극과 2013.03.22

큰땅빈대(1)

큰땅빈대(2) https://daehyo49.tistory.com/7815595 큰땅빈대(1) https://daehyo49.tistory.com/7809616 대극속 종 검색표 http://blog.daum.net/daehyo/7811182 학명: Euphorbia maculata L. / 수정 학명 정명 Euphorbia hypericifolia L.. / 새 분류 Chamaesyce hypericifolia (L.) Millsp. 분류: 대극과(Euphorbiaceae) 일어명: オオニシキソウ 영명: Eyebane 사진: 2012.09.08 문경 아래 사진: 2013.09.08 주왕산 아래: 2019.10.19 야평 도곡리 아래: 2021.08.18 연천 아래 : 2021.09.16 푸른수목원 종자..

대극과 2012.09.10

깨풀

학명: Acalypha australis L. 분류: 대극과(Euphorbiaceae) 학명 풀이: Acalypha: nettle(쐐기풀) australis: 오스트레일리아의, 남쪽의 일어명: エノキクサ 영명: Copperleaf, Threeseed Mercury 사진: 2012.07.27 *** 동속식물: - 설명: 잎 잎은 어긋나기하며 달걀모양 또는 넓은 피침형이며 끝이 뾰족하고 밑부분이 원저이며 길이 3-8cm, 폭 1.5-3.5cm로서 밑부분에서 3-5맥이 갈라지고 표면에 복모가 드문드문 있으며 뒷면 맥 위에 털이 있고 가장자리에 둔한 톱니가 있으며 엽병은 길이 1-4cm이다. 열매 삭과는 지름 3mm가량으로 털이 있고 대가 없으며 둥글다. 종자는 길이 2mm가량으로 넓은 달걀모양이고 흑갈색이며 ..

대극과 2012.07.31

오구나무(조구나무)

학명: Triadica sebifera (L.) Small * 에 있는 학명 Sapium sebiferum (L.) Roxb.은 옛 학명이다. 속명이 Triadica로 바뀌었다 분류: 대극과(Euphorbiaceae) 국명에 대하여: 에서는 정명을 ‘조구나무’, 이명을 ‘오구나무’로 하고 있으나 반대가 되어야 옳다. 원래 중국에서 이 나무는 乌桕라 하였다. 따라서 ‘조구’는 오독이다. 오독에 대해서는 http://blog.daum.net/tnknam/540 (낙은재) 참조 학명 풀이: Triadica: From the Greek, referring to the three-locular capsules with three seeds sebiferum: 왁스가 있는(씨를 둘러싸고 있는 수지) http://b..

대극과 2012.02.29

포인세티아

학명: Euphorbia pulcherrima Willd. ex Klotzsch 분류: 대극과(Euphorbiaceae) 학명 풀이: Euphorbia: Named for Euphorbus, Greek physician to Juba II, King of Mauretania pulcherrima : 가장 아름다운 아래: 2018.10.15 소요산역 설명: 멕시코와 중앙 아메리카가 원산지로, 이곳에서는 습기가 있고 축축하며 나무가 무성한 계곡과 바위투성이인 구릉에서 자란다. 포인세티아라는 이름은 J.R. 포인셋 의 이름을 따 명명되었는데, 그는 1820년대 후반 멕시코 공사로 재직하는 동안 포인세티아를 대중화시켰고 화훼 재배에 도입했다. 따뜻한 지역에서는 키가 3m 정도이고 겨울에 꽃을 피우는 줄기가 가느..

대극과 2012.02.04

유동(1)(유동/일본유동 차이)

유동(2) https://daehyo49.tistory.com/7814619 유동(1) https://daehyo49.tistory.com/7808487 예덕나무 https://daehyo49.tistory.com/7807492 학명: Vernicia fordii (Hemsl.) Airy Shaw 이명: Aleurites fordii Hemsl. 뷴류: 대극과(Euphorbiaceae) 학명 풀이: Vernicia : 라틴어 vernix ‘니스(varnish)’ fordii: Charles Ford, 20th century superintendent of the Hong Kong Botanical Garden 사진: 광릉수목원 온실 유동은 엽병 기부에 밀선이 2개 있지만 밀선에 자루가 없다. 일본유동은 ..

대극과 2011.04.07

무늬대극

학명: Euphorbia pekinensis Rupr. 분류: 대극과 사진: 광릉수목원 온실 안내 팻말에 무늬대극이라고 되어 있는 이 종은 학명이 Euphorbia pekinensis Rupr.로 되어 있다. 그렇다면 보통 대극을 가리키는 것이다, 그러나 무늬는 변종 또는 원예종을 의미하는 것이라쳐도 그냥 대극과는 느낌이 달라 대극의 원예종 또는 변종이라 보기에는 힘들다. 혹시 다른 품종을 개량한 것이 아닐까? 대극 참조 http://blog.daum.net/daehyo/7807834 http://blog.daum.net/daehyo/7807608

대극과 2011.03.29

광대싸리

학명: Flueggea suffruticosa (Pallas) Baillon (국생정) Securinega suffruticosa (Pall.) Rehder는 이명 처리 분류: 대극과(Euphorbiaceae) 동속식물: - 학명 풀이: Flueggea : Named for Johannes (Johann) Flüggé, 19th century German cryptogamist and botanist who established the first botanical garden in Hamburg, Germany Securinega → securis ‘도끼’ ; negro ‘거부하다’ - 나무가 단단하여 자르기 어려운 점을 나타냄 suffruticosa: 관목의 중국어명: 一叶萩 일어명: ヒトツバハギ 一葉..

대극과 2010.08.04

민대극(붉은대극)

대극속 종 검색표 http://blog.daum.net/daehyo/7811182 학명: Euphorbia ebracteolata Hayata분류: 대극과(Euphorbiaceae) 학명 풀이: Euphorbia : Named for Euphorbus, Greek physician to Juba II, King of Mauretania ebracteolata 소포엽이 없는 아래 사진: 2014.2.23. 여수 금오도 아래 사진: 2014.2.24 남해도 동속식물 평양대극 Euphorbia barbellata var. imaii (Hurus.) Kitag. 붉은대극 Euphorbia ebracteolata Hayata 설악대극 Euphorbia ebracteolata f. magna Y.N.Lee 풍도대극..

대극과 2010.05.09

개감수(개감수/붉은대극(=민대극)/대극 비교)

개감수 https://daehyo49.tistory.com/7808140 흰대극(2) https://daehyo49.tistory.com/7811181 흰대극(1) https://daehyo49.tistory.com/7812220 대극속 종 검색표 http://blog.daum.net/daehyo/7811182 학명: Euphorbia sieboldiana Morren & Decne. 분류: 대극과(Euphorbiaceae) 사진 추가 2012.04.12 천마산 아래: 2014.07.07 안동 아래는 선체 확대 사진 아래는 열매(씨방) 확대 사진 아래: 2014.10.26 치악산 아래: 2016.05.31 인천 *** 잎도 말라가고 선체도 없어져 정확한 동정이 어려우나 개감수로 추정된다. 아래: 2018..

대극과 2010.04.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