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푸레나무과 71

구골목서 (2)

구골목서(3) https://daehyo49.tistory.com/7809901 구골목서(2) https://daehyo49.tistory.com/7809132 구골목서(1)(목서 종류와 호랑가시나무 비교) https://daehyo49.tistory.com/7807517 목서 종류(은목서/금목서/박달목서/구골나무) 비교하기 https://daehyo49.tistory.com/7809133 학명 : Osmanthus × fortunei Carrière 분류 : 물푸레나무과(Oleaceae) * 목서(=은목서) Osmanthus fragrans와 구골나무 Osmanthus heterophyllus의 교잡종이다 사진: 안산식물원 아래는 완도수목원 2012.01.13 아래: 2017.09.14 제주도 아래: ..

물푸레나무과 2012.02.15

광나무(1)(쥐똥나무속 종 검색표)

당광나무(1)(광나무와 당광나무 비교) https://daehyo49.tistory.com/7810277 광나무(3) https://daehyo49.tistory.com/7814255 광나무(2) https://daehyo49.tistory.com/7814221 광나무(1)(쥐똥나무속 검색표) https://daehyo49.tistory.com/7809127 학명: Ligustrum japonicum Thunb. var. japonicum 분류: 물푸레나무과(Oleaceae) 학명 풀이: Ligustrum: 쥐똥나무(Privet) 일어명: ネズミモチ 사진: 안산식물원 아래 사진은 강원도립화목원에사 안내 팻말은 없었지만 광나무로 판단한다. 아래는 전주수목원에서 1월 12일 아래: 2019.01. 18 제주..

물푸레나무과 2012.02.15

왕쥐똥나무(1)

왕쥐똥나무 겨울눈(1) https://daehyo49.tistory.com/7815902 왕쥐똥나무(2) https://daehyo49.tistory.com/7815695 왕쥐똥나무(1) https://daehyo49.tistory.com/7809119 쥐똥나무속 검색표(광나무) https://daehyo49.tistory.com/7809127 학명: Ligustrum ovalifolium Hassk. 분류: 물푸레나무과(Oleaceae) 학명 풀이: Ligustrum: 쥐똥나무속 ovalifolium: 잎이 난형인 사진: 전주수목원 아래: 2018.01. 20 교래곶자왈 아래; 2020.08.21 제주도 Ligustrum에 속하는 종에서 반상록성은 왕쥐똥나무와 상동잎쥐똥나무이다. 상동잎쥐똥나무는 잎이 ..

물푸레나무과 2012.02.13

물들메나무(물푸레나무/들메나무/물들메나무 비교표/검색표)

학명: Fraxinus chiisanensis Nakai분류: 물푸레나무과(Oleaceae)  사진: 전주수목원                     아래: 2017.04. 09 전남 ***                              설명:  잎 잎은 마주나기하고 홀수깃모양겹잎이며 소엽은 7개이고 작은잎자루가 없으며 도란상 긴타원모양이고 긴 점첨두이며 끝이 꼬리처럼 긴 것이 있고 예저이며 길이 7-22cm로서 표면은 암록색이고 털이 없으나 뒷면은 연한 녹색으로서 맥 위에 털이 있으며 기부 근처에 갈색털이 있다. 맹아의 잎은 뒷면에 잔털이 약간 있고 엽축에 날개가 있다. 열매 열매는 긴 타원상 피침형이며 길이 2.5-4cm로서 9-10월에 익고 미요두 간혹 둔두이다. 꽃 꽃은 이가화로서 5월에 피며..

물푸레나무과 2012.02.13

금목서(2)

학명: Osmanthus fragrans var. aurantiacus Makino 분류: 물푸레나무과(Oleaceae) 학명 풀이: Osmanthus : 그리스어 osme → odour, fragrance; anthos → flowers fragrans : 향기있는 aurantiacus: orange-red colored 사진: 천리포수목원 아래: 2019.03.07 천리포수목원 동속식물: 구골나무 Osmanthus heterophyllus (G.Don) P.S.Green 금목서 Osmanthus fragrans var. aurantiacus Makino 목서 Osmanthus fragrans (Thunb.) Lour. 박달목서 Osmanthus insularis Koidz. 목서/금목서/구골나무 ht..

물푸레나무과 2011.12.05

털개회나무(정향나무)(2)

정향나무는 털개회나무에 통합하였다 털개회나무(1) https://daehyo49.tistory.com/7807878 털개회나무(2) https://daehyo49.tistory.com/7808692 털개회나무(3) https://daehyo49.tistory.com/7815169 흰털개회나무(흰정향나무)(1) https://daehyo49.tistory.com/7807716 흰털개회나무(흰정향나무)(2) https://daehyo49.tistory.com/7807768 꽃개회나무 https://daehyo49.tistory.com/7808276 학명: Syringa patula (Palib.) Naka var. patula 분류: 물푸레나무과(Oleaceae) 국명 이명: 둥근(잎)정향나무 학명 풀이: ..

물푸레나무과 2011.09.02

좀쇠물푸레

학명: Fraxinus sieboldiana var. angusta Blume 분류: 물푸레나무과(Oleaceae) 학명 풀이: Fraxinus: 물푸레나무 sieboldiana: 19세기 독일의 식물학자 Franz Philipp von Siebold angusta: 좁은 사진: 인천수목원 동속식물(13종): 광릉물푸레 Fraxinus rhynchophylla var. densata (Nakai) Y.N.Lee 구주물푸레 Fraxinus excelsior L. 들메나무 Fraxinus mandshurica Rupr. 물들메나무 Fraxinus chiisanensis Nakai 물푸레나무 Fraxinus rhynchophylla Hance 미국물푸레 Fraxinus americana L. 백운쇠물푸레 Fr..

물푸레나무과 2011.05.14

만리화와 장수만리화(2)

만리화 겨울눈(1) https://daehyo49.tistory.com/7815777 만리화와 장수만리화(2) https://daehyo49.tistory.com/7808509 만리화와 장수만리화(1)(개나리꽃속 식물 비교) https://daehyo49.tistory.com/7807806 개나리는 장주화가 별로 안보이는데 홍릉수목원에 있는 만리화, 장수만리화는 장주화다. 사진에서 보면 긴 녹색의 암술(암술머리 2개) 밑에 매우 짧은 노란 꽃밥이 아래 보인다 1) 만리화 학명: Forsythia ovata Nakai 분류: 물푸레나무과(Oleaceae) 국명 이명: 금강개나리 설명: 잎 잎은 대생하며 넓은 난형이고 급한 점첨두이며 예저 또는 아심장저이고 길이 5-7cm, 폭 4-6cm로서 개나리에 비해 ..

물푸레나무과 2011.04.21

개나리꽃의 관찰 (장주화와 단주화)

개나리꽃에는 잘 알려진 것과 같이 암술이 수술보다 긴 장주화와 암술이 수술보다 짧은 단주화(각각 암꽃, 수꽃이라고 잘못 알려져 있다). 장주화와 단주화가 함께 있어 각각 서로 꽃가루를 교환해야만 수정이 된다는데도 오랫동안 이 식물이 무성번식을 해온 탓인지 장주화를 만나기가 매우 힘들다. 올 봄 개나리가 지기 전에 장주화를 만나려했으나 올해는 일이 글러버린듯 싶디. 다음의 사진들은 모두 단주화이다. 접사로 최대한 세밀한 부분까지 잡아내려고 고생 좀 했다. 수술은 2개라 하였다. 수술대는 분명히 2개인데 꽃밥이 1개로 보인다. 아마 꽃밥끼리 너무 근접해 있어 그렇게 보이는 듯싶다. 여기서는 수술대 하나가 작업 중에 떨어져나간 것일까? 수술도 2개, 암술머리도 2개이다. 2012. 4. 12일 중랑천에서 찾아..

물푸레나무과 2011.04.20

꽃개회나무

정향나무는 털개회나무에 통합하였다 털개회나무(1) https://daehyo49.tistory.com/7807878 털개회나무(2) https://daehyo49.tistory.com/7808692 털개회나무(3) https://daehyo49.tistory.com/7815169 흰털개회나무(흰정향나무)(1) https://daehyo49.tistory.com/7807716 흰털개회나무(흰정향나무)(2) https://daehyo49.tistory.com/7807768 꽃개회나무 https://daehyo49.tistory.com/7808276 학명: Syringa wolfii C.K.Schneid. 분류: 물푸레나무과(Oleaceae) 학명 풀이: Syringa : Pipe, hollow stems w..

물푸레나무과 2010.08.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