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푸레나무과 71

섬쥐똥나무

섬쥐똥나무https://daehyo49.tistory.com/7810754광나무(쥐똥나무속 검색표)https://daehyo49.tistory.com/7809127 학명 : Ligustrum foliosum Nakai f. foliosum분류 : 물푸레나무과(Oleaceae)일명 : タケシマイボタ학명 풀이: Ligustrum: An old name for Privet foliosum: leafy 사진: 2015.08.22 울릉도            섬쥐똥나무는 원추화서이고 잎 끝이 뾰족하다. 이에 비해 쥐똥나무는 총상화서(좁은 원추화서)이고 잎끝이 둔하다     아래 : 2024.07.23 세종식물원       동속식물: 광나무 Ligustrum japonicum Thunb. var. japonicum당..

물푸레나무과 2015.09.26

버들개회나무(1)

버들개회나무(1)https://daehyo49.tistory.com/7810743버들개회나무 겨울눈(1)https://daehyo49.tistory.com/7815747  학명: Syringa fauriei H.Lev.분류: 물푸레나무과(Oleaceae) 사진: 2015.07.11 정선                      * 버들개회나무는 개회나무와 같이 흰꽃이 피며 화관 통부가 화관 열편보다 짧으며 수술이 화통 밖으로 초출된다는 점에서  Syringa속의 다른 종들과 구별된다. 그러나 이 두 종은 잎 모양이 다르다. 개회나무가 잎이 난형 내지 넓은 난형인데 대하여 버들개회나무는 잎이 피침형 내지 좁은 피침형이다.   아래: 2017.09.24  정선              아래 : 2022.09.03..

물푸레나무과 2015.08.21

학자스민(학재스민)

학명: Jasminum polyanthum Franch. 분류: 물푸레나무과(Oleaceae) 학명 풀이: Jasminum: 자스민(재스민) polyanthum: 꽃이 많은 사진: 2014.05.03 대마도 아래: 2019.03.02 한택식물원 설명 Jasminum polyanthum, also known as Pink Jasmine (or White Jasmine), is an evergreen twining climber native to China and Burma (Myanmar).[1] It produces an abundance of reddish-pink flower buds in late winter and early spring, followed by fragrant five-petall..

물푸레나무과 2014.06.28

상동잎쥐똥나무(2)

쥐똥나무속 검색표 http://blog.daum.net/daehyo/7809127 상동잎쥐똥나무(2) https://daehyo49.tistory.com/7810278 상동잎쥐똥나무(1) https://daehyo49.tistory.com/7809915 상동잎쥐똥나무 겨울눈 https://daehyo49.tistory.com/7813752 학명: Ligustrum quihoui Carriere 분류: 물푸레나무과(Oleaceae) 학명풀이: Ligustrum: 쥐똥나무(Privet) quihoui: ? latifolium: 잎이 넓은 일어명: オオバクロイゲイボタ 사진: 2013.10. 28 진도; 천마님 제공 확대사진 1 소지에 털이 있다. 확대사진 2 뒷면에 희끗희끗한 것은 선점으로 보인다. 동속식물:..

물푸레나무과 2014.03.01

당광나무(1)(광나무와 당광나무 비교)

당광나무(1)(광나무와 당광나무 비교) https://daehyo49.tistory.com/7810277 광나무(1)(쥐똥나무속 검색표) https://daehyo49.tistory.com/7809127 학명: Ligustrum lucidum Aiton 분류: 물푸레나무과(Oleaceae) 학명 풀이: Ligustrum: 쥐똥나무(Privet) lucidum: Bright, clear, lustrous 일어명: トウネズミモチ 영명: Glossy Privet, Chinese Privet, Nepal Privet, Wax-leaf Privet, 사진: 2014.02.22 목포 유달산 특정자생식물원 아래 사진: 2014.05.06 부산 대연수목원 아래: 2017.07.23 서귀포 아래: 2017.12.26 창..

물푸레나무과 2014.02.28

상동잎쥐똥나무(1)

쥐똥나무속 검색표 http://blog.daum.net/daehyo/7809127 상동잎쥐똥나무(2) https://daehyo49.tistory.com/7810278 상동잎쥐똥나무(1) https://daehyo49.tistory.com/7809915 상동잎쥐똥나무 겨울눈 https://daehyo49.tistory.com/7813752 학명: Ligustrum quihoui var. latifolium Nakai 분류: 물푸레나무과(Oleaceae) 학명 풀이: Ligustrum : 쥐똥나무(privet)의 고명 quihoui: ? latifolium; 잎이 넓은 일어명: オオバクロイゲイボタ 사진: 2013.03.17 진도 동속식물: 광나무 Ligustrum japonicum Thunb. var. j..

물푸레나무과 2013.03.23

구골목서(3)

구골목서(3) https://daehyo49.tistory.com/7809901 구골목서(2) https://daehyo49.tistory.com/7809132 구골목서(1)(목서 종류와 호랑가시나무 비교) https://daehyo49.tistory.com/7807517 목서 종류(은목서/금목서/박달목서/구골나무) 비교하기 https://daehyo49.tistory.com/7809133 학명 : Osmanthus × fortunei Carrière 분류 : 물푸레나무과(Oleaceae) * 목서(=은목서) Osmanthus fragrans와 구골나무 Osmanthus heterophyllus의 교잡종이다 아래 : 2024.01.05 안면도수목원 동속식물: 구골나무 Osmanthus heterophyl..

물푸레나무과 2013.03.14

구골나무 (2)

목서 종류 비교 http://blog.daum.net/daehyo/7809133 학명: Osmanthus heterophyllus (G.Don) P.S.Green 분류: 물푸레나무과(Oleaceae) 학명 풀이: Osmanthus: 그리스어 osme ‘향기’; anthos ‘꽃’ heterophyllus : 서로 다른 잎의 사진: 2013.03.07 완도 아래: 2017.09.16 제주도 아래: 2018.02.06 광릉수목원 동속식물: (은)목서 종류(은목서/금목서/박달목서/구골나무) 비교하기 http://blog.daum.net/daehyo/7809133 (은)목서 http://blog.daum.net/daehyo/7809132 (은)목서/금목서/구골나무 http://blog.daum.net/daehy..

물푸레나무과 2013.03.10

구골나무

목서 종류 비교 http://blog.daum.net/daehyo/7809133 학명: Osmanthus heterophyllus (G.Don) P.S.Green 분류: 물푸레나무과(Oleaceae) 학명 풀이: Osmanthus: 그리스어 osme ‘향기’; anthos ‘꽃’ heterophyllus : 서로 다른 잎의 일어명 : ヒイラギ(柊) 참고 사이트 https://matsue-hana.com/hana/hiiragi.html 사진: 전주수목원 아래와 같이 소개되어 있지만 잘못된 것으로 보인다. '뿔잎목서'라는 종도 없고 아래 학명도 보이지 않는다. 인터넷에 Osmanthus ilicifolius가 나오나 Osmanthus hetreophyllus의 이명으로 본다. 아래는 역시 전주수목원 좀 떨어..

물푸레나무과 2012.03.04

목서 종류(은목서/금목서/박달목서/구골나무) 비교하기

목서종류 Osmanthus에 대해서는 제대로 된 자료가 없어 정확한 동정이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국내외 인터넷사이트를 뒤져 내 나름대로 정리해본다. 우선 우리나라에서 Osmanthus 속으로 소개하고 있는 종들은 아래와 같다. 목서(은목서) Osmanthus fragrans (Thunb.) Lour. 금목서 Osmanthus fragrans var. aurantiacus Makino 구골나무 Osmanthus heterophyllus (G.Don) P.S.Green 박달목서 Osmanthus insularis Koidz. 이 중에서 박달목서는 국내에 자생하고 있지만 나머지 종들은 재배종이다 중국에서는 Osmanthus fragrans 종으로 아래 4종을 소개한다 金桂 Osmamthus fragrans ..

물푸레나무과 2012.02.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