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6

밀화부리

학명 : Eophona migratoria Hartert분류 : 참새목(Passeriformes) /되새과(Fringillidae)영어명 : Chinese grosbeak, yellow-billed grosbeak, or black-tailed hawfinch   사진 : 2025.01.13 제주 애월 펜션 유리창에 부딛혀 죽은 것이다    Daum 백과 설명  요약참새목 되새과에 속하며 한국 전역에 분포하는 흔한 여름새. 일본과 필리핀, 한국 등이 원산지이고, 야산과 공원, 산림 등에 서식한다. 식성은 잡식이며, 두충을 주 먹이로 삼는다. 크기는 17~19cm 정도이고, 무게는 42~55g 정도이다. 낮은 위기의 멸종위기등급을 받았다.개요조강 참새목 되새과에 속하는 척추동물. 학명은 ‘Eophona m..

2025.01.18

흰배지빠귀

학명 : Turdus pallidus Gmelin분류 : 참새목(Passeriformes)/지빠귀과(Turdidae)영명 : Pale Thrush 사진 : 2025.01.13 제주 애월 유리창에 부딛혀 죽은 것이다       국내분포 : 우리나라 전역의 평지, 산림, 산지, 공원 등지에서 흔하게 관찰된다. 해외분포 :우수리, 아무르천 하류에서 번식하고, 대만, 중국, 일본에서 월동한다.특징 : 여름철새  형태크기: 약 23.5~25cm 정도의 크기이다.채색과 무늬: 수컷은 머리가 올리브색을 띤 시멘트색이다. 기타 몸 윗면은 붉은 올리브 갈색이다. 턱밑은 흰색이고, 뺨, 귀깃, 턱 아래 부위는 잿빛이다. 윗가슴은 올리브 잿빛 갈색이며, 옆구리는 엷은 붉은빛을 띤 갈색이다. 배 옆은 올리브 잿빛 갈색이며, ..

2025.01.18

딱새

유리딱새https://daehyo49.tistory.com/7815790딱새https://daehyo49.tistory.com/7816258 학명 : Phoenicurus auroreus Pallas(1776)분류 : 참새목(Passeriformes) /솔딱새과(Muscicapidae)/딱새속(Phoenicurus )영명 : Daurian redstart   사진 : 2024.07.10 광릉수목원  광릉수목원 온실에 들어왔다가 출구를 찾지 못해 허둥거리는 녀석을 찍었다     다음백과 설명   서식지 산림 가장자리, 덤불, 강변 잡목 숲, 인가먹이 나무 열매, 딱정벌레, 벌, 파리, 나비, 등크기 약 14cm 특징• 도시 변두리나 농촌 등 인가 근처에서 서식한다.• 단독으로 생활하며 관목에 앉아 꼬리를 ..

2024.08.01

청호반새

학명 : Halcyon pileata Boddaert분류 : 파랑새목(Coraciiformes) /물총새과( Alcedinidae)영어: black-capped kingfisher→검은 머리 물총새  사진 : 2024.06.21 파주 군내면  차안에서 찍은 사진이라 선명하지 않다     한국어 위키 설명  취약(VU): 절멸가능성 높음평가기관: IUCN 적색 목록 3.1[2] 청호반새(학명: Halcyon pileata 할퀴온 필레아타[*])는 파랑새목 물총새과에 속하는 한 종이다. 최근엔 환경부에 의해 멸종위기 2급으로 지정되었다. 모습청호반새는 등이 짙은 파란색을 띠고 있다. 머리는 검은색이며, 턱 밑과 목, 가슴 윗부분은 하얀색을 띠고 있다. 배 아래쪽은 주황색을 띠며, 다리는 붉은색이다. 부리는 ..

2024.07.16

동고비

학명 : Sitta europaea Linnaeus 분류 : 참새목(Passeriformes) 동고비과 (Sittidae) 영어명 : Eurasian nuthatch 사진 : 2024.03.31 천마산 Daum 백과 설명 특징 • 낙엽 활엽수림에서 서식하며 혼자 또는 암수가 함께 생활하고, 번식 후에는 다른 종과 함께 무리를 형성한다. • 여름에는 거미류나 곤충류를 잡아먹고 겨울에는 식물의 씨앗이나 나무열매를 먹는다. • 나무 위의 생활이 주가 되며, 나무줄기나 가지를 교묘하게 올라가고 내려오면서 먹이를 찾는다. • 돌아다니는 범위나 시각은 거의 일정하고, 같은 시각에 같은 무리들이 같은 장소에서 만나는 일이 종종 있다. • 대체로 지상으로 잘 내려오지 않으나 때로는 땅위에서 양쪽 다리를 함께 모아 뛰거..

2024.04.15

붉은머리오목눈이(뱁새)

학명 : Suthora webbiana (Gould, 1852) 분류 : 참새목(Passeriformes) 붉은머리오목눈이과(Paradoxornithidae) 영명 : Vinous-throated parrotbill 국명 이명 : 뱁새 사진 : 2024.04.02 난지도 한강공원 한국어 위키 백과 붉은머리오목눈이 또는 뱁새(문화어: 부비새, 비비새)는 한반도와 동남아시아에 서식하는 연작류이다. 둥지 둥지는 개나리, 국수나무, 찔레나무, 쥐똥나무, 사철나무, 조릿대 등의 키가 작은 나무에 지푸라기와 죽은 잡목의 나무 껍질들을 거미줄로 연결해서 밥그릇 모양으로 만든다. 붉은머리오목눈이의 둥지는 비바람에 무너지지 않을 만큼 튼튼하다. 덤불숲에 있어서 비에 둥지가 완전히 젖지 않으며, 보통 4~6개의 알을 낳아..

2024.04.15

중대백로(2)

중대백로(1)https://daehyo49.tistory.com/7809479    학명 : Ardea alba modesta J.E. Gray, 1831분류 : 사다새목(Pelecaniformes) 백로과(Ardeidae)영명 : Eastern great egret   사진 : 2024.03.21 방학동 중랑천     아래 : 2024.07.31 여주 활학산수목원    나무위키 설명 1. 개요[편집]중대백로는 사다새목 왜가리과에 속하는 여름 철새이다. 대백로의 아종이다.2. 생김새[편집]암수 동형으로, 몸 전체적으로 흰색이다. 하지만 속의 피부는 검다고 한다. 크기는 90cm로, 한국의 백로 중 대백로 다음으로 두 번째로 크다. 하천에서 보이는 새들 중 왜가리랑 크기와 생김새가 비슷한데 몸이 하얗다면 ..

2024.03.31

호사비오리(추정)

비오리/바다비오리/호사비오리/흰비오리 비교(비공개) https://daehyo49.tistory.com/7815970 학명 : Mergus squamatus Gould, 1864 분류 : 기러기목(Anseriformes) 오리과(Anatidae) 영명 : scaly-sided merganser or Chinese merganser *멸종위기 야생생물 Ⅰ급, 천연기념물 제448호 사진 : 2024.02.29 도봉 중랑천 암컷 아래 : 2024.03.05 방학 중랑천 수컷 아래 : 2024.03.05 방학 중랑천 위키페디아 설명 The scaly-sided merganser or Chinese merganser (Mergus squamatus) is an endangered typical merganser ..

2024.03.27

참새(2)

참새(2) https://daehyo49.tistory.com/7816038 참새(1) https://daehyo49.tistory.com/7815334 학명 : Passer montanus 분류 : 참새목 참새과 영명 : Tree Sparrow 사진 : 2024.03 방학 중랑천 한국 Daum 백과 서식지 도시, 농촌 등 마을 주변 먹이 잡식성(꽃의 꿀, 곤충, 벼 이삭, 씨앗 등) 크기 약 10~15cm 학명 Passer montanus 수명 약 5~6년 특징 • 부리는 짧고 단단해서 곡식을 쪼아 먹기에 알맞다. • 꽁지깃은 날 때 방향을 잡는 역할을 한다. • 여름에는 해로운 곤충을 잡아먹어 사람에게 도움을 주지만, 가을에는 농작물에 피해를 주기도 한다. • 모래와 물을 이용해 목욕하는 것을 좋아한..

2024.03.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