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예.재배식물/F-N 70

Malvaviscus arboreus(1)

Malvaviscus arboreus(1) https://daehyo49.tistory.com/7809932 Malvaviscus arboreus(2)(하와이무궁화와의 비교) https://daehyo49.tistory.com/7814732 하와이무궁화 https://daehyo49.tistory.com/7810884 학명: Malvaviscus arboreus Cav. 분류: 아욱과(Malvaceae) 학명 풀이: Malvaviscus: Sticky mallow arboreus: tree-like 사진: 2013.03.09 완도수목원 온실 설명: Malvaviscus arboreus is a species of flowering plant in the hibiscus family, Malvaceae, ..

Kleinia grantii (비관 緋冠)

학명: Kleinia grantii (Oliv. & Hiern) Hook.f. 학명 이명: Senecio grantii (Oliv. & Hiern) Zonn. * 우리나라 인터넷에서는 대부분 이명으로 올라와 있다. 그러나 영어로 검색을 하면 외국에서는 보통 Kleinia grantii 를 쓰고 Senecio grantii 는 과거에 쓰였던 학명으로 소개한다. * Senecio 속은 매우 광범위하여 근래에 많은 종들이 다른 속으로 분리 이전되었다. 이 블로그 난에 소개한 종들이 그 일레이다. 영명: - 국내 유통명: 비관 (緋冠) 일어 명: 緋の冠/紅鷹(응) 학명 유래 Kleinia: 18세기 독일의 동물학자 Jacob Theodor Klein grantii: Named for 19th century Sc..

Malvaviscus arboreus

학명: Malvaviscus arboreus Cav. 분류: 아욱과(Malvaceae) 학명 풀이: Malvaviscus: Sticky mallow(아욱) arboreus: 나무 같은 원산지: 미국 남동부 지역, 멕시코. 중앙아메리카, 남아메리카 영명: Turkcap / Turk's Turban / Wax Mallow / Ladies Teardrop / Scotchman's Purse 사진: 완도수목원과 인천수목원 꽃잎이 활짝 펼쳐지지 않는 것이 특징이다. 품종 Malvaviscus arboreus var. arboreus Malvaviscus arboreus var. drummondii (Torr. & A.Gray) Schery (= Malvaviscus drummondii Torr. & A.Gray)..

Nepenthes

학명: Nepenthes 분류: 벌레잡이통풀과(Nepenthaceae) 설명: 상록 덩굴식물이며 온실에서 관상용으로 심는다. 땅 위에 줄기를 뻗거나, 큰 나무에 엉켜붙는 등 자라나는 형태는 각각이다. 잎은 잎자루·잎몸·덩굴·벌레잡이주머니로 이루어지는데, 잎은 어긋나고 긴 타원형이며 길이 10~15cm 정도로 중륵(中肋)이 길게 자라서 끝에 벌레잡이통을 만든다. 통 한쪽에 2개의 날개가 있고 긴 털이 돋으며 통 입구에 뚜껑 같은 부속체가 있으나 여닫지 않는다. 뚜껑과 통 입구에 꿀샘이 있어서 벌레를 유인하고 통의 입구는 미끄럽기 때문에 벌레들이 통 속으로 떨어지기 쉽다. 통 속에는 소화액이 분비되므로 떨어진 벌레는 소화 흡수된다. 통의 크기·형태·빛깔 및 무늬 등에 따라서 종류를 구별한다. 꽃은 2가화(二..

Mahonia lomarifolia

천리포수목원에서는 이 나무를 ‘고비뿔남천’이라고 소개하고 있으나, 이는 종소명 lomarifolia(‘lomaria의 잎 모양을 한’)의 lomaria를 ‘고비’로 오역한 것으로 보이다. 학명 풀이에서 보듯이 lomaria는 우리나라에는 분포하지 않는 양치식물 Blechnum 속의 이명이다. 적당한 유통명이 없으므로 학명으로 소개한다. 학명: Mahonia lomariifolia Takeda 분류: 매자나무과(Berberidaceae) 학명 풀이: Mahonia: 미국의 원예가 Bernard McMahon (1775-1816) lomariifolia: lomaria의 잎을 닮은 * lomaria는 지금은 Blechnum으로 불리는 속으로, 새깃아재비과(Blechnaceae)이다. Blechnum 속은 우..

Helwingia chinensis

학명: Helwingia chinensis Batalin, 분류: Helwingiaceae * 1과 1속이다 중국명: 中华青荚叶 zhong hua qing jia ye 사진: 천리포수목원 *** 천리포수목원에서 이 나무에 붙인 ‘선상화’라는 이름은 뜻이 무엇인지도, 그리고 어디서 나온 이름인지도 모르겠다. 퍼온 사진에서 보듯이 꽃이 잎 위에 놓인 모습에서 배를 타고 있는 모습을 연상한 것아라 추리해본다. 이 종은 꽃이 잎 위 중륵에 놓이는 특이한 꽃이다. 산형화서로 총산경에 해당되는 부분이 중륵과 유합되어 있다. 설명: Shrubs evergreen, 1–2 m tall; bark dark gray or light grayish brown; young branches purplish green. Leaf..

Jatropha curcas(1)

Jatropha curcas (1) https://daehyo49.tistory.com/7808424 Jatropha curcas (2) https://daehyo49.tistory.com/7814653 학명: Jatropha curcas L. 분류: 대극과(Euphorbiaceae) 학명 풀이: Jatropha: 그리스어 iatrós ‘doctor, trophé ’food‘( 약성이 있는 것을 의미) curcas: 출처 불명 영명: Physic Nut, Barbados Nut, Purging Nut 국내 유통명: 쿠르카스 원산지: 중남미 열대지방 사진: 2009.01.31 인천대공원 아래 : 2023.03.09 부천수피아식물원 설명: 독성이 있는 반상록성의 관목내지 소교목으로 6m 정도로 자란다, 건조..

Jatropha integerrima

학명: Jatropha integerrima Jacq. 분류: 대극과(Euphorbiaceae) 영명: spicy jatropha or peregrina 국내 유통명: 자트로파, 향기자트로파, 마타피아, 야트로파 인테게리마 * 국내 유통명에 대해 1) 우선 ‘마타피아’라는 유통명은 전혀 출처를 알 수 없다. 해외의 인터넷 사이트를 아무리 뒤져 보아도 Jatropha integerrima의 Common name으로 마타피아에 해당되는 영어를 찾을 수 없다. 혹시나 하여 중국 야후와 일본 야후를 뒤져 보아도 마타피아로 읽을 수 있는 중국어나 일본어를 찾을 수 없다. ‘마타피아’라는 이름은 완전히 출처를 알 수 없는 정체불명의 이름인 것이다. 2) ‘자트로파’로 읽는 것에 대해 - 우리나라에서는 학명을 영어식..

Myoporum parvifolium

학명: Myoporum parvifolium 영명: Creeping Boobialla, Creeping Myoporum or Dwarf Native Myrtle 우리나라에서 부르는 이름: 묘포룸 분류: 현삼과(Scrophulariaceae) 학명 풀이 Myoporum: 그리스어 myo (to shut) and poros (a pore), 잎에 있는 투명한 점들을 가리키는 표현 parvifolium: 작은 잎 설명(http://en.wikipedia.org): 오스트레일리아가 원산인 포복성의 관목으로 높이는 얼마 안 되고 옆으로 잘 뻗기에 ( 높이는 직경 약 3m 정도) 지피식물로 많이 키운다,. 잎은 표면에 광택이 있으며 선형 또는 장타원형으로 길이가 1 -6 cm, 폭은 1.5 - 8 mm 정도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