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동과 105

린네풀

학명: Linnaea borealis L. 분류: 린네풀과( Linnaeaceae) /(국생지) 인동과(Caprifoliaceae) 사진: 2018.07.08 백두산 왕지 아래: 2018.07.07 우슬린 아래: 2018.07.05 황송포 분포 ▶중국, 일본 등 북반구 아한대에 분포한다. ▶평북과 함북에 자생한다. 형태 상록포복상 반관목 생육환경 숲속이나 변두리. 크기 높이 5-10cm 정도 된다. 잎 잎은 마주나기하며 원형, 넓은 거꿀달걀모양이고 길이와 너비가 각각 1cm 이며 가장자리 상반부에 1-3개의 결각상 톱니가 있다. 표면에 잔털이 약간 있거나 없다. 꽃 꽃은 7월에 피고 밑을 향하며 가지 끝에 2개씩 달리고 화경은 길이 2-10cm로서 꽃자루 및 씨방과 더불어 짧은 샘털이 있으며, 꽃자루는 ..

인동과 2018.07.28

흰괴불나무(흰괴불나무와 홍괴불나무 비교)

분홍괴불나무(2)https://daehyo49.tistory.com/7815251분홍괴불나무(1)https://daehyo49.tistory.com/7807904흰괴불나무https://daehyo49.tistory.com/7811499홍괴불나무(홍괴불나무와 분홍괴불나무 구별)https://daehyo49.tistory.com/7811449   학명 : Lonicera tatarinowii Maxim. 분류 : 인동과(Caprifoliaceae)    사진: 2017.06.25  강원도 ***          아래는 솔메님이 제공한 사진       흰괴불나무, 홍괴불나무는 꽃자루가 대개 잎의 중맥 쪽에 근접하여 달린다  설명: 국생정은 설명이 잘못되어 있으니 한국의 나무 참조   아래: 2018.07.08..

인동과 2017.07.02

홍괴불나무 (홍괴불나무와 분홍괴불나무 구별)

분홍괴불나무(2)https://daehyo49.tistory.com/7815251분홍괴불나무(1)https://daehyo49.tistory.com/7807904흰괴불나무https://daehyo49.tistory.com/7811499홍괴불나무(홍괴불나무와 분홍괴불나무 구별)https://daehyo49.tistory.com/7811449   학명 : Lonicera maximowiczii (Rupr.) Regel / (국생지) Lonicera sachalinensis (F.Schmidt) Nakai는 이명처리분류 : 인동과(Caprifoliaceae)일어명 : ベニバナヒョウタンボク 꽃 사진 참조 일본 사이트 http://www.pref.okayama.jp/norin/ringyo/jumoku_zukan/..

인동과 2017.05.29

털지렁쿠나무?

학명 : Sambucus racemosa var. miquelii f. velutina 분류 : 인동과 (Caprifoliaceae) 사진: 2017.04.09 천안 **** 산골짜기에서 높이 5~6m 정도로 자라는 낙엽 떨기나무다. 줄기의 골 속은 노란 갈색, 나무껍질은 코르크가 발달한다. 어린가지는 녹색, 털이 없고, 묵은 가지는 세로로 껍질눈이 있다. 잎은 마주나며, 5~9개의 작은잎으로 된 깃꼴겹잎이다. 잎몸은 넓은 피침형, 장타원형으로 길이 4~6cm, 양쪽 끝은 뾰족하고 가장자리에 안쪽으로 굽는 날카로운 톱니가 있다. 잎 뒷면에 융털이 빽빽이 나 있다. 꽃은 5~6월 연한 노란색 또는 연한 녹색으로 피며, 가지 끝에 원추꽃차례로 달린다. 꽃받침통에 털은 있거나 없다. 꽃부리는 연한 노란색, 지..

인동과 2017.04.10

골병꽃나무(1)

골병꽃나무(3)https://daehyo49.tistory.com/7813655골병꽃나무(2)(비공개)https://daehyo49.tistory.com/7808632골병꽃나무(1)https://daehyo49.tistory.com/7811288병꽃나무속 종 비교(일본삼색병꽃나무)https://daehyo49.tistory.com/7810906 학명: Weigela hortensis (Siebold & Zucc.) K.Koch분류: 인동과(Caprifoliaceae) /신분류 병꽃나무과(Diervillaceae)학명 풀이: Weigela: 18세기 독일의 식물학 교수 Christian Ehrenfried von Weigelhortensis: 정원의, 원예의 일어명: タニウツギ(谷空木)   사진: 2016..

인동과 2017.03.15

넓은잎딱총나무

학명 : (국생정) Sambucus latipinna Nakai / (한국의나무에서는 딱총나무에 통합) Sambucus racemosa L. subsp. kamtschatica 분류 : 인동과(Caprifoliaceae) / (FOC) 연복초과(Adoxaceae) 일어명 : ヒロハニワドコ 사진: 2016..07.30 백두산 근처 설명 잎 잎은 대생하고 2쌍의 소엽으로 된 기수1회우상복엽이며 소엽은 난형이고 첨두 또는 점첨두이며 예저 또는 넓은 예저이고 길이 5-10cm로서 가장자리에 뾰족한 톱니가 있다. 열매 열매는 7월에 홍색으로 성숙한다. 꽃 화서는 가지 끝에 달리며 반원형으로서 복산방화서 또는 원추화서이고 털이 없으며 꽃은 5월에 피고 화관은 황록색이며 털이 없고 5개로 갈라진다. 수술은 5개이며 ..

인동과 2016.12.08

각시괴불나무(3)

각시괴불나무(1) https://daehyo49.tistory.com/7807335 각시괴불나무(2) https://daehyo49.tistory.com/7808116 각시괴불나무(3) https://daehyo49.tistory.com/7811036 길마가지나무(Lonicera 종 검색표) https://daehyo49.tistory.com/7807810 학명 : Lonicera chrysantha Turcz. 분류 : 인동과(Caprifoliaceae) 학명 풀이: Lonicera : Named for Adam Lonitzer, 16th century German botanist and author chrysantha : Golden flower 영명 : Coralline Honeysuckle 괴불나..

인동과 2016.11.20

넓은잎댕댕이(댕댕이나무 근연종 비교)

댕댕이나무 겨울눈(1) https://daehyo49.tistory.com/7815951 댕댕이나무(3) https://daehyo49.tistory.com/7815052 댕댕이나무(2) https://daehyo49.tistory.com/7810203 댕댕이나무(1) https://daehyo49.tistory.com/7808250 낣은잎댕댕이나무 https://daehyo49.tistory.com/7811022 길마가지(Lonicera 종 검색표) https://daehyo49.tistory.com/7807810 학명 : Lonicera caerulea var. longibracteata for. ovata Hara 분류: 인동과(Caprifoliaceae) 사진: 2016.07.29 만주 * Lon..

인동과 2016.11.10

일본삼색병꽃나무(병꽃나무 종류 Weigela 비교)

학명: Weigela coraeensis Thunb.분류: 인동과((Caprifoliaceae) 일어명: ハコネウツギ(箱根空木) 영명: Japanese weigela국가표준식물목록 등재명 : 일본삼색병꽃나무이전 국명 : 일본병꽃나무 * 학명과 영명에 대하여일본삼색병꽃나무는 종소명이 coraeensis로 여기서 종소명은 '고려'를 뜻한다. 그러나 일본삼색병꽃나무는 영명 Japanese Weigela에  나타나 있는 것처럼  한국 특산이 아니라 일본 자생종이다. 종소명 coraeensis는 잘못 붙인 것이라 한다.      사진: 2016.05.03 제주도 여미지식물원   꽃색이 백색에서 핑크색을 거쳐 붉은 색으로 변화하여 일본삼색병꽃나무라는 이름이 붙었다   아래는 줄무늬가 있는 것이다   일본삼색병꽃나무..

인동과 2016.07.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