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동과 105

털댕강나무(1)

긴털댕강나무 (Zabelia종 검색표) https://daehyo49.tistory.com/7810377 주걱댕강나무(2) (유사분류군 속 검색표) https://daehyo49.tistory.com/7814043 털댕강나무(1) https://daehyo49.tistory.com/7810735 털댕강나무 겨울눈(1) https://daehyo49.tistory.com/7815749 학명: Zabelia biflora (Turczaninow) Makino / Abelia coreana Nakai 분류: 린네풀과(Linnaeaceae)/ 인동과(Caprifoliaceae) 일어명 : コウライツクバネウツギ 중국어명: 六道木 영명 : Korean Abelia 漢名 : 高麗六條木 사진: 2015.07.11 정선..

인동과 2015.07.24

설구화(설구화와 털설구화의 비교; 라나스덜꿩나무)

털설구화(품종)https://daehyo49.tistory.com/7807567   학명:  Viburnum plicatum Thunb. var. plicatum f. plicatum분류: 인동과(Caprifoliaceae)/ 연복초과(Adoxaceae)* 새로운 분류법에서는 연복초과로 분류된다.  학명 풀이:Viburnum: Latin name for the Wayfaring tree plicatum: Folded, pleated일어명: オオデマリ중국어명: 雪球花 사진: 2014.05.04 대마도          아래 : 2021.08.26 전주수목원 꽃은 장식화만으로 구성된다. 털설구화는 중앙에 임성의 꽃과 가장자리의 장식화 3-5개로 구성된다   측맥이 12쌍이 보인다.    아래는 털설구화 '라나..

인동과 2014.07.12

지렁쿠나무(1)

딱총나무(1) (딱총나무 속 종 비교) https://daehyo49.tistory.com/7807805 딱총나무(2) https://daehyo49.tistory.com/7815045 말오줌나무 https://daehyo49.tistory.com/7810017 덧나무 https://daehyo49.tistory.com/7810347 지렁쿠나무(1) https://daehyo49.tistory.com/7810391 지렁쿠나무(2) https://daehyo49.tistory.com/7815153 잎과 가지에 털이 많이 보여 지렁쿠나무로 추정해본다. 학명: Sambucus racemosa L. subsp. kamtschatica (E.Wolf) Hultén 분류: 인동과(Caprifoliaceae)/연복초..

인동과 2014.05.26

긴털댕강나무 (Zabelia속과 Abelia 속 구별; (줄)댕강나무/긴털댕강나무/털댕강나무 구별)

(줄)댕강나무(1) https://daehyo49.tistory.com/7807430 (줄)댕강나무(2) https://daehyo49.tistory.com/7808883 (줄)댕강나무(3) https://daehyo49.tistory.com/7814983 (줄)댕강나무(4) https://daehyo49.tistory.com/7815248 긴털댕강나무 (Zabelia종 검색표) https://daehyo49.tistory.com/7810377 주걱댕강나무(2) (유사분류군 속 검색표) https://daehyo49.tistory.com/7814043 학명: Zabelia densipila M.-P. Hong, Y.-C. Kim & B.Y. Lee 분류: 린네풀과(Linnaeaceae)/ 인동과(Capr..

인동과 2014.05.11

덧나무

딱총나무(1) (딱총나무 속 종 비교)https://daehyo49.tistory.com/7807805딱총나무(2)https://daehyo49.tistory.com/7815045말오줌나무https://daehyo49.tistory.com/7810017덧나무https://daehyo49.tistory.com/7810347지렁쿠나무(1)https://daehyo49.tistory.com/7810391지렁쿠나무(2)https://daehyo49.tistory.com/7815153    학명 : (한국의나무)Sambucus racemosa L. subsp. sieboldiana (Blume ex. Miq.) H. Hara 분류군 : Caprifoliaceae(인동과) 일명 : ニワトコ(接骨木,庭常)    사진..

인동과 2014.04.23

섬댕강나무(털댕강나무)(1)

오랫동안 섬댕강나무를 별개의 종으로 생각해왔으나 요즘은 털댕강나무의 생태형으로 본다. 국생지와 국표식에서도 섬댕강나무는 삭제되어 있다 학명 : Zabelia insularis (Nakai) Hisauti & H.Hara ← Abelia coreana var. insularis (Nakai) W.T.Lee & W.K.Paik 분류 : 인동과(Caprifoliaceae) 사진: 2013.05.20 울릉도 섬댕강나무Z. insularis는 털댕강나무Z. biflora와 유사하나 섬댕강나무는 잎 양면과 꽃받침에 털이 없다. 그러나 한국의나무에서는 두 종이 같은 종으로 보는 견해가 지배적이라 언급하고 있다 설명 잎 잎은 대생하며 난형, 넓은 난형, 타원형 또는 도란형이고 점첨두 또는 미철두(微凸頭)이며 예저이고 ..

인동과 2014.04.18

청괴불나무(1)

청괴불나무(2)https://daehyo49.tistory.com/7816319청괴불나무 겨울눈(1)https://daehyo49.tistory.com/7808949길마가지 (추정) ← 청괴불나무(2)(?)https://daehyo49.tistory.com/7815707청괴불나무(1)https://daehyo49.tistory.com/7810249길마가지나무(Lonicera 종 검색표)https://daehyo49.tistory.com/7807810  학명: Lonicera subsessilis Rehder 분류: 인동과(Caprifoliaceae) 일어명: ミドリヒョウタンボク  사진: 2013.09.08 경북 ***            청괴불나무의 겨울눈은 7-10mm의 각이 진 피침형이며 바깥쪽으로 ..

인동과 2013.09.11

숫명다래나무

숫명다래나무는 길마가지에 통합시켜보기도 하나 에서는 아직 분리시켜놓고 잇다. 억지로 구별하면 길마가지에 비해서 숫명다래나무는 길마가지에 비해서 전체적으로 강모가 적다. 특히 소지, 엽병, 포에 털이 거의 없는 것이 특징이다. 학명: Lonicera coreana Nakai 분류: 인동과(Caprifoliaceae) 사진: 2013.03. 30 백암산 아래 사진 : 2014.2.23 여수 금오도 동속식물 개들쭉나무 (비추천명:가는잎댕댕이) Lonicera caerulea var. emphyllocalyx (Maxim.) Nakai 넓은잎댕댕이 Lonicera caerulea var. longibracteata f. ovata Hara 둥근잎댕댕이 Lonicera caerulea var. venulosa (..

인동과 2013.08.20

왕괴불나무

괴불나무속Lonicera 종 검색표 http://blog.daum.net/daehyo/7807810 학명 : Lonicera vidalii Franch. & Sav. 분류: 인동과(Caprifoliaceae) 일어명 ; オニヒョウタンボク(鬼瓢箪木) 참조 사이트 http://www.yam1.thyme.jp/folder2/4_step/f4a/onihyoutanboku.html 사진: 2013.08.17 강원도 *** 산 아래: 2017.04.09 전남 *** 동속식물 개들쭉나무 (비추천명:가는잎댕댕이) Lonicera caerulea var. emphyllocalyx (Maxim.) Nakai 넓은잎댕댕이 Lonicera caerulea var. longibracteata f. ovata Hara 둥근잎댕댕..

인동과 2013.08.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