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동과 107

숫명다래나무

숫명다래나무는 길마가지에 통합시켜보기도 하나 에서는 아직 분리시켜놓고 잇다. 억지로 구별하면 길마가지에 비해서 숫명다래나무는 길마가지에 비해서 전체적으로 강모가 적다. 특히 소지, 엽병, 포에 털이 거의 없는 것이 특징이다. 학명: Lonicera coreana Nakai 분류: 인동과(Caprifoliaceae) 사진: 2013.03. 30 백암산 아래 사진 : 2014.2.23 여수 금오도 동속식물 개들쭉나무 (비추천명:가는잎댕댕이) Lonicera caerulea var. emphyllocalyx (Maxim.) Nakai 넓은잎댕댕이 Lonicera caerulea var. longibracteata f. ovata Hara 둥근잎댕댕이 Lonicera caerulea var. venulosa (..

인동과 2013.08.20

왕괴불나무

괴불나무속Lonicera 종 검색표 http://blog.daum.net/daehyo/7807810 학명 : Lonicera vidalii Franch. & Sav. 분류: 인동과(Caprifoliaceae) 일어명 ; オニヒョウタンボク(鬼瓢箪木) 참조 사이트 http://www.yam1.thyme.jp/folder2/4_step/f4a/onihyoutanboku.html 사진: 2013.08.17 강원도 *** 산 아래: 2017.04.09 전남 *** 동속식물 개들쭉나무 (비추천명:가는잎댕댕이) Lonicera caerulea var. emphyllocalyx (Maxim.) Nakai 넓은잎댕댕이 Lonicera caerulea var. longibracteata f. ovata Hara 둥근잎댕댕..

인동과 2013.08.19

댕댕이나무(2)

댕댕이나무 겨울눈(1)https://daehyo49.tistory.com/7815951댕댕이나무(3)(댕댕이나무와 구슬댕댕이 비교)https://daehyo49.tistory.com/7815052댕댕이나무(2)https://daehyo49.tistory.com/7810203댕댕이나무(1)https://daehyo49.tistory.com/7808250낣은잎댕댕이나무https://daehyo49.tistory.com/7811022길마가지(Lonicera 종 검색표)https://daehyo49.tistory.com/7807810  * 사진기 조작을 잘못하여 화질이 엉망이 되었다. 포토샵으로 처리하였더니 제 색상이 나오지 않았다.  학명: Lonicera caerulea var. edulis Turcz. e..

인동과 2013.08.19

물앵도나무 (추정)

괴불나무속Lonicera 종 검색표 http://blog.daum.net/daehyo/7807810 잎 이외에는 동정 포인트가 없어 정확한 동정은 어렵다. 엽형이 물앵도나무와 제일 가깝다. 학명: Lonicera ruprechtiana Regel 분류: 인동과(Caprifoliaceae) 일어명: ビロ-ドヒョウタンボク 사진: 2013.07.26 백두산 지하산림 설명 잎 잎은 마주나기하고 긴 거꿀달걀모양, 타원형 또는 피침형이며 점첨두 예저이고 길이 6-10cm로서 표면에 털이 거의 없으며 뒷면에 융털이 있고 가장자리가 밋밋하다. 엽병은 길이 5-8mm로서 융털이 있다. 열매 열매는 서로 떨어져 있고 둥글며 지름 5-7mm이고 9-10월에 홍색 또는 황홍색으로 성숙한다. 꽃 꽃은 5-6월에 피고 액생하며 ..

인동과 2013.08.19

배암나무(1)(백당나무와 배암나무의 비교)

배암나무 겨울눈(1)https://daehyo49.tistory.com/7815816배암나무(1)https://daehyo49.tistory.com/7810193가막살나무속 Viburnum 종 검색표 https://daehyo49.tistory.com/7807582   학명: Viburnum koreanum Nakai분류: 인동과(Caprifoliaceae)/ 연복초과(Adoxaceae)* 새로운 분류법에서는 연복초과로 분류된다. 일어명: ヒロハガマズミ중국어명: 朝鲜荚蒾(협미)영명: Korean Viburnum  사진: 2013.07.26 백두산              아래: 2018.07.06  백두산 지하산림             아래 : 2024.04.11 여주 황학산수목원    백당나무와 달리 엽..

인동과 2013.08.16

섬괴불나무(2)

섬괴불나무(1) https://daehyo49.tistory.com/7809199 섬괴불나무(2) https://daehyo49.tistory.com/7810063 섬괴불나무(3) https://daehyo49.tistory.com/7814039 괴불나무속 검색표 https://daehyo49.tistory.com/7807810 학명: Lonicera insularis Nakai 분류: 인동나무과(Caprifoliaceae) 학명 풀이: Lonicera: 19세기 독일 식물학자 Adam Lonitzer insularis: 섬의 사진: 2013.05.17-.05.20 울릉도 섬괴불나무 http://blog.daum.net/daehyo/7809199 (겨울눈) http://blog.daum.net/daehy..

인동과 2013.06.18

분단나무(1)

분꽃나무(5)https://daehyo49.tistory.com/7814176분단나무(2)https://daehyo49.tistory.com/7816113분단나무(1)https://daehyo49.tistory.com/7810030산분꽃나무https://daehyo49.tistory.com/7808038가막살나무속 Viburnum 종 검색표https://daehyo49.tistory.com/780758 울릉도 성인봉 올라가다가 본 것으로 생육지에 의거 분단나무로 본다.   학명: Viburnum furcatum Blume 분류: 인동과(Caprifoliaceae)/ 연복초과(Adoxaceae)* 새로운 분류체계인 APG Ⅱ system에서는 연복초과로 분류한다.  일어명: ムシカリ   사진: 2013.0..

인동과 2013.06.06

말오줌나무(울릉도 특산)

딱총나무(1) (딱총나무 속 종 비교)https://daehyo49.tistory.com/7807805딱총나무(2)https://daehyo49.tistory.com/7815045말오줌나무https://daehyo49.tistory.com/7810017덧나무https://daehyo49.tistory.com/7810347지렁쿠나무(1)https://daehyo49.tistory.com/7810391지렁쿠나무(2)https://daehyo49.tistory.com/7815153   학명: Sambucus sieboldiana var. pendula (Nakai) T.B.Lee 분류: 인동과(Caprifoliaceae) / 연복초과(Adoxaceae)* Sambucus 속은 종전까지 인동과로 분류되었으나 유..

인동과 2013.06.01

아왜나무(1)

아왜나무(2)https://daehyo49.tistory.com/7814229아왜나무(1)https://daehyo49.tistory.com/7809896 학명: Viburnum odoratissimum var. awabuki (K.Koch) Zabel ex Rumpler분류: 인동과(Caprifoliaceae)/ 연복초과(Adoxaceae)* 새로운 분류법에서는 연복초과로 분류된다. 학명 풀이: Viburnum: Wayfaring tree(가막살나무) odoratissimum: 향기가 가장 좋은 awabuki: 일본어 アワブキ(泡吹)* 흥미있게도 일본에서 アワブキ(泡吹)라 일컫는 나무는 ‘나도밤나무 Meliosma myriantha’이다. 일어명: サンゴジュ(珊瑚樹)일본 사이트 참조https://mat..

인동과 2013.03.10

인동덩굴(1)

인동덩굴(2) https://daehyo49.tistory.com/7815312 인동덩굴(1) https://daehyo49.tistory.com/7809430 학명: Lonicera japonica Thunb. 분류: 인동과(Caprifoliaceae) 일어명 : スイカズラ(吸葛) 중국어명 : 忍冬 아래 사진: 2012.08.10 *** 아래: 2019.10.14 용유도 아래: 2019.11.16 김포 아래는 종자 아래: 2019.11.18 천마산(가곡리) 아래: 2021.05.03 불암산 아래: 2021.06.05 무의도 아래 : 2021.06.17 인천 용유도 아래 : 2022.05.28 방학동 동속식물 자생 인동덩굴 Lonicera japonica Thunb. 잔털인동 Lonicera japoni..

인동과 2012.06.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