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 7737

쇠오리(1)

쇠오리(2) https://daehyo49.tistory.com/7816037 쇠오리(1) https://daehyo49.tistory.com/7815967 학명 : Anas crecca Linnaeus 분류 : 기러기목 오리과 영어명 : Common Teal 사진 : 2024.02.23 도봉구 중랑천 아래 : 2024.02.27 하계 중랑천 아래 : 2024..02.28 석계 중랑천 설명 위키페디아 Description The Eurasian teal is one of the smallest extant dabbling ducks(수면성 오리류: dabble: 첨벙 처넣다 . 잠방거리다) at 34–43 cm (13–17 in) length and with an average weight of 360 ..

2024.02.25

회화나무 겨울눈(1)

회화나무 겨울눈(1) https://daehyo49.tistory.com/7815965 회화나무(1) https://daehyo49.tistory.com/7809537 학명: Styphnolobium japonicum (L.) Schott * 종전 학명은 회화나무 콩과 Sophora japonica L. 이었다 회화나무는 종전에는 Sophora 속에 포함되어 있었으나 Styphnolobium속으로 편입되었다. Styphnolobium속은 Sophora속과는 달리 질소고정 박테리아 공생관계를 맺지 못한다. (영어 위키 참조) 분류: 콩과(Leguminosae) 학명 풀이: Styphnolobium: 그리스어로 ‘dense’, with lobos (pod, capsule). 사진 올린 날 : 2012.03...

겨울나무 2024.02.24

인디언개오동 '푸르푸레아'

학명 : Catalpa × erubescens 'Purpurea' 분류 : 능소화과(Bignoniaceae) 사진 : 2024.02.16 수원일월수목원 국표식 등재 재배식물 정명 Catalpa × erubescens Carrière 인디언개오동 재배식물 정명 Catalpa × erubescens 'Adina' 인디언개오동 '아디나' 재배식물 정명 Catalpa × erubescens 'Purpurea' 인디언개오동 '푸르푸레아' Wikipedia 설명 Catalpa × erubescens (or Catalpa erubescens), the hybrid catalpa, is a hybrid plant species of Catalpa in the family Bignoniaceae. It is a medi..

사방오리나무 겨울눈(1)

사방오리 겨울눈(1) https://daehyo49.tistory.com/7815963 사방오리(2) https://daehyo49.tistory.com/7815665 사방오리(1) https://daehyo49.tistory.com/7808924 오리나무속 종 검색표[물오리나무] https://daehyo49.tistory.com/7809042 학명 : Alnus firma Siebold & Zucc. 분류 : 자작나무과 (Betulaceae) 사진 : 2024.02.20 인천 용유도 열매(자화서의 발달)는 자루가 있다 . 수꽃눈은 가지 끝에 붙으며 자루가 거의 없다 소견과에는 막질의 비교적 넓은 날개가 있다 사방오리 겨울눈 정보 수형 : 낙엽 교목; 높이 8-15m;직경 30cm 정도까지 자란다 수피..

겨울나무 2024.02.24

중국받침꽃(2)

자주받침꽃(2)https://daehyo49.tistory.com/7816167자주받침꽃(1)https://daehyo49.tistory.com/7807697자주받침꽃 겨울눈(1)https://daehyo49.tistory.com/7811923중국받침꽃(2)https://daehyo49.tistory.com/7815962중국받침꽃(1)https://daehyo49.tistory.com/7809250   학명: Calycanthus chinensis (W. C. Cheng & S. Y. Chang) W. C. Cheng & S. Y. Chang ex P. T. Li종전에 쓰던 학명 Sinocalycanthus chinensis W.C.Cheng & S.Y.Chang  ----   이명 처리되었음분류: 자주..

받침꽃과 2024.02.24

가시칠엽수(서양칠엽수) 겨울눈

가시칠엽수 겨울눈 https://daehyo49.tistory.com/7815961 가시칠엽수(서양칠엽수)(가시칠엽수와 칠엽수 비교) https://daehyo49.tistory.com/7815959 칠엽수 https://daehyo49.tistory.com/7815960 학명 : Aesculus hippocastanum L. 분류 : 칠엽수과(Hippocastanaceae) 사진: 2024.02.19 무의도 한반도의 생물다양성 설명 유럽 남동부가 원산지인 큰키나무로 조경용으로 심는다. 키는 30m, 직경은 2m까지 자란다. 어린 가지는 갈색 털이 있다. 잎자루는 길이 8-20cm이고 털이 없다. 잎몸은 5-7개로 완전히 갈라지고 갈라진 조각에는 잎자루가 없으며 윗면은 녹색이고 털이 없거나 흰털이 드물게..

겨울나무 2024.02.23

칠엽수

가시칠엽수 겨울눈 https://daehyo49.tistory.com/7815961 가시칠엽수(서양칠엽수)(가시칠엽수와 칠엽수 비교) https://daehyo49.tistory.com/7815959 칠엽수 https://daehyo49.tistory.com/7815960 학명: Aesculus turbinata Blume 분류: 칠엽수과(Hippocastanaceae) 학명 풀이: Aesculus: 마로니에 열매 turbinata: Like a spinning top 동속식물: 가시칠엽수 Aesculus hippocastanum L. 사진 올린 날 : 2011.07.17 아래 : 2022.04.27 올림픽공원 70년대에 대학을 다닌 사람들은 박건의 노래 '지금도 마로니에는 ..'라는 노래를 즐겨불렀다 ..

칠엽수과 2024.02.23

가시칠엽수(서양칠엽수)(가시칠엽수와 칠엽수 비교)

가시칠엽수 겨울눈 https://daehyo49.tistory.com/7815961 가시칠엽수(서양칠엽수)(가시칠엽수와 칠엽수 비교) https://daehyo49.tistory.com/7815959 칠엽수 https://daehyo49.tistory.com/7815960 학명: Aesculus hippocastanum L. 속칭 : '마로니에' 분류: 칠엽수과 (Hippocastanaceae) 동속식물: 칠엽수 Aesculus turbinata Blume 사진 올린 날: 2009.05.09 사진 : 2009.05.04 창동 아래 사진은 전년에 동일한 장소에서 찍은 것이다. 위의 사진은 개화가 시작되는 시기에 찍은 것이고 아래 사진은 만개가 된 다음 찍은 것이다. 꽃 중심부 색깔이 다른 것이 주목된다. ..

칠엽수과 2024.02.23

굴피나무 겨울눈(2)

굴피나무 겨울눈(2) https://daehyo49.tistory.com/7815958 굴피나무 겨울눈(1) https://daehyo49.tistory.com/7809280 굴피나무(2) https://daehyo49.tistory.com/7814253 굴피나무(1) https://daehyo49.tistory.com/7807739 학명: Platycarya strobilacea Siebold & Zucc. var. strobilacea for. strobilacea 분류: 가래나무과(Juglandaceae) 학명 풀이 Platycarya: platy 'broad' ; carya 'nut' strobilacea: 원뿔 모양의 일어명: ノグルミ(野胡桃) 사진 : 2024.02.19 무의도 굴피나무 겨울눈..

겨울나무 2024.02.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