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 7777

목서(=은목서)(2)

목서(2) https://daehyo49.tistory.com/7815798 목서(1) https://daehyo49.tistory.com/7814430 금목서 https://daehyo49.tistory.com/7813526 학명 : Osmanthus fragrans Lour. 분류 : 물푸레나무과 (Oleaceae) 사진 : 2024.01.07 안산식물원 우리나라 식물원에서 은목서 이름이 붙은 것은 거의 다 구골목서이나 아래 것은 잎이 혁질로 보이지 않고 톱니도 보이지 않아 목서(=은목서)로 추정한다. 목서와 구골목서는 엽형이 다르다. 목서는 주로 장타원형, 구골목서는 주로 난형이이다. 국생지 분포 중국, 일본; 남부지방 식재. 생육환경 해를 잘 받는 따뜻한 곳이 좋으며 겨울의 서북풍이 막힌 곳이 좋..

물푸레나무과 2024.01.12

무화과나무 겨울눈(1)

무화과나무 겨울눈(1)https://daehyo49.tistory.com/7815797무화과나무(2)https://daehyo49.tistory.com/7814422무화과나무(1)https://daehyo49.tistory.com/7810049천선과나무 겨울눈(2)(천선과나무와 무화과나무 겨울눈 비교)https://daehyo49.tistory.com/7816502천선과나무 겨울눈(1)https://daehyo49.tistory.com/7809142  학명: Ficus carica L.분류: 뽕나무과(Moraceae)학명 풀이:Ficus : 무화과carica: 그리스어 karike - 무화과 종류       아래: 2019.01.18 제주도 도대봉       아래는 스마트폰 접사(01.21 접사)    ..

겨울나무 2024.01.12

좀마삭줄(1)

마삭줄Trachelospermum asiaticum의 품종으로 되어 있다. 지피식물로 식물원에서 흔히 볼 수 있다. 남부지방에서 산지에서 가끔 보이기도 하는데 마삭줄의 품종으로 되어 있는 것이 이해되지 않는다 학명 : Trachelospermum asiaticum 'Atsuba Chirimen' 분류 : 협죽도과(Apocynaceae) 영명 : Asia Minor Asiatic Jasmine 참조 사이트 다움백과 https://100.daum.net/encyclopedia/view/77XXXXX16242 사진 : 2024.01.07 안산식물원

협죽도과 2024.01.12

매실나무(2)

매실나무(2) https://daehyo49.tistory.com/7815795 매실나무(1) https://daehyo49.tistory.com/7807877 학명: Prunus mume Siebold & Zucc. for. mume 분류: 장미과(Rosaceae) 아래 : 2022.03.18 푸른수목원 아래 : 2020.03.30 창동 아래 : 2024.01.07 안산식물원 아래 : 2023.03.09 수피아식물원 설명: 잎 잎은 어긋나기하며 달걀 모양 또는 타원형인데 원저이며 가장자리에는 잔톱니가 있다. 잎은 길이 4~10㎝이고 양면에 털이 약간 있으며, 뒷면 맥액에 갈색털이 있다. 엽신 기부 또는 엽병 상부에 선점이 있다. 탁엽은 길이 5-9㎜이다. 열매 지름 2-3㎝의 핵과로 겉은 짧은 털로 덮..

장미과 2024.01.12

산분꽃나무 겨울눈(1)

산분꽃나무(2)https://daehyo49.tistory.com/7816135산분꽃나무(1)https://daehyo49.tistory.com/7808038산분꽃나무 겨울눈(1)https://daehyo49.tistory.com/7815794분꽃나무 겨울눈(1)https://daehyo49.tistory.com/7807958 학명 : Viburnum burejaeticum Regel & Herder분류 : 인동과 (Caprifoliaceae) /(APG Ⅳ) 산분꽃나무과 (Viburnaceae)    사진 : 2008.03.17            아래 : 2023.12.100황학산수목원        아래 : 2023.12.29 집 물병       아래 : 2024.01.07 집 물병      산분꽃나..

겨울나무 2024.01.11

워터코인(2)

워터코인(2) https://daehyo49.tistory.com/7815793 워터코인(1) https://daehyo49.tistory.com/7808012 학명: Hydrocotyle umbellata L. 영명: manyflower marsh pennywort, water pennywort 분류: 산형과(Umbelliferae) * 두릅나무과(Araliaceae)로 분류하기도 한다. 어느 쪽이 최근의 동향인지는 모르겠다. wikipedia에서는 두릅나무과로 분류하고 있다. 학명풀이: Hydrocotyle: 그리스어 hydro (water), kotule (cup) umbellata: 산형의 사진 : 2024.01.07 안산식물원

바위종다리

학명 : Prunella collaris (Scopoli, 1769)분류 : 참새목(Passeriformes)/바위종다리과(Prunellidae)영명 : Alpine Accentor  참조 사이트https://www.oiseaux.net/birds/alpine.accentor.html 사진 : 2024.01.01 수락산 정상    아래 : 2025.01.30 수락산 정상    다음백과  크기 : 18cm서식 : 유럽 남부에서 이란, 중앙아시아, 히말라야, 러시아 극동, 중국, 대만, 일본에서 번식하고, 겨울에는 저지대로 이동한다. 9아종으로 나눈다. 국내에는 드물게 찾아오는 겨울철새이며, 북한에서는 백두산 천지 주변에서 드물지 않게 번식하는 텃새다. 10월 중순에 도래해 월동하고 3월 하순까지 관찰된다...

2024.01.09

유리딱새

유리딱새https://daehyo49.tistory.com/7815790딱새https://daehyo49.tistory.com/7816258  학명 : Tarsiger cyanurus Pallas(1773)분류 : 참새목(Passeriformes)/솔딱새과(Muscicapidae)/Tarsiger영명 : Red-flanked Bluetail 사진: 2024.01.03 창동   암컷이다       수컷 사진(위키애서 퍼옴)         다음백과 설명  서식지 핀란드에서 캄차카, 코만도르스키예 제도, 사할린에서 번식하고, 중국 남부, 인도차이나에서 월동한다.크기 L14~15cm  서식핀란드에서 캄차카, 코만도르스키예 제도, 사할린에서 번식하고, 중국 남부, 인도차이나에서 월동한다. 3아종으로 나눈다. 매우..

2024.01.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