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 7964

냉초(1)

냉초(1) http://blog.daum.net/daehyo/7807403 냉초(2) https://daehyo49.tistory.com/7810121 냉초(3) https://daehyo49.tistory.com/7814165 학명: Veronicastrum sibiricum (L.) Pennell 분류: 현삼과(Scrophulariaceae) 동속: 흰냉초 Veronicastrum sibiricum for. albiflora T.Yamaz. 사진 : 오대산한국자생식물원 아래: 2018.07.06 백두산 이도백하 국생지 분포 일본, 훗카이도, 만주, 중국, 시베리아에 분포한다. 강원(설악산), 평북, 함남, 함북에 야생한다. 형태 여러해살이풀 생육환경 산지의 약간 습기가 있는 곳에서 자란다. 크기 높이..

현삼과 2009.08.07

연영초(연령초)(1)

연영초(1) https://daehyo49.tistory.com/7807401 연영초(2) https://daehyo49.tistory.com/7808571 연영초(3) https://daehyo49.tistory.com/7815156 큰연영초(연영초와 큰연영초 비교) https://daehyo49.tistory.com/7809999 학명 : Trillium camschatcense Ker Gawl. 분류 : 백합과 (Liliaceae) 사진 : 오대산한국자생식물원 연영초와 큰연영초(Trillium tschonoskii Maxim.)의 구별 연영초: 중부 이북의 높은 산에서 자란다. 꽃밥의 길이가 수술대의 2배 정도다. 씨방이 녹색이다 큰연영초: 울릉도와 북한의 높은 산에서 자란다, 꽃자루가 1-4cm로..

백합과 2009.08.06

민박쥐나물(1)

학명: Parasenecio hastata subsp. orientalis (Kitam.) H.Koyama 분류: 국화과(Compositae) 사진 : 오대산한국자생식물원 아래: 2018.07.08 백두산 왕지 아래 : 2022.08.07 평강식물원 안내표지판에는 박쥐나물로 되어 있으나 민박쥐나물로 동정한다 게박쥐나물(1) https://daehyo49.tistory.com/7815394 귀박쥐나물(1) https://daehyo49.tistory.com/7809339 귀빅쥐나물(2) https://daehyo49.tistory.com/7810158 귀박쥐나물(3) https://daehyo49.tistory.com/7810189 민박쥐나물(1) https://daehyo49.tistory.com/780..

국화과 2009.08.06

여로(1)(검색표)

여로(3) https://daehyo49.tistory.com/7815015 여로(2) https://daehyo49.tistory.com/7813955 여로(1) (검색표) https://daehyo49.tistory.com/7807397 학명: Veratrum maackii var. japonicum (Baker) T.Schmizu 분류: 백합과(Liliaceae) 여로속(Veratrum) 동속의 다른 품종('박새' 이름이 붙은 것 제외): 긴잎여로 Veratrum maackii Regel var. maackii 붉은여로 Veratrum versicolor for. brunnea Nakai 삼수여로 Veratrum bohnhofii var. latifolium Nakai 여로 Veratrum maac..

백합과 2009.08.05

큰제비고깔(1)

큰제비고깔(2)https://daehyo49.tistory.com/7813722큰제비고깔(1)https://daehyo49.tistory.com/7807396제비고깔(제비고깔과 큰제비고깔 구별)https://daehyo49.tistory.com/7812745  학명:  Delphinium maackianum Regel 분류: 미나리아재비과(Ranunculaceae)   사진 : 2008.07.08 오대산자생식물원           아래는 성남은행자연관찰원에서            아래: 2018.08.01  강원도 모처           아래 : 2022.07.16 광릉수목원  아래 : 2022.09.03 광릉수목원     제비고깔과 큰제비고깔1. 잎은 깊게 갈리고, 최종 열편은 선형 내지 선상피침형이다...

눈개승마(2)

눈개승마(1)https://daehyo49.tistory.com/7807415눈개승마(2)https://daehyo49.tistory.com/7807395눈개승마(3)https://daehyo49.tistory.com/7814050  학명 : Aruncus dioicus (Walter) Fernald분류 : 장미과 (Rosaceae)* 울릉도에서는 삼나물이라 한다학명 풀이Aruncus : An ancient namedioicus : 자웅이주 * 승마라는 이름이 붙었으나 미나라아재비과가 아닌 것은 모두 4종류가 있다.  눈개승마는 한라개승마  Aruncus aethusifolius (H.Lev.) Nakai와 함께 장미과에 속한다. 다른 두 종류는  범의귀과에 속하는 나도승마 Kirengeshoma kor..

장미과 2009.08.04

단삼(丹蔘)(1)

단삼(丹蔘)(2) https://daehyo49.tistory.com/7815250 단삼(丹蔘)(1) https://daehyo49.tistory.com/7807394 학명: Salvia miltiorrhiza Bunge 분류: 꿀풀과(Labiatae) 배암차즈기속(Salvia) 사진 찍은 곳과 날짜: 해여림식물원 2006.07.01 아래 : 2021.08.26 전주수목원 잎은 단엽 또는 기수우상복엽이다. 보통 기수우상복엽으로 보이며 새로 나오는 어린 잎이 단엽인 것으로 보인다 아래 : 2022.04.03 푸른수목원 아래 : 2022.08.23 푸른수목원 아래 : 2022.10.05 푸른수목원 동속식물: 깨꽃 Salvia splendens KerGawl. 단삼 Salvia miltiorrhiza Bung..

꿀풀과 2009.08.02

분홍바늘꽃(1)

분홍바늘꽃(2) https://daehyo49.tistory.com/7810953 분홍바늘꽃(1) https://daehyo49.tistory.com/7807393 바늘꽃과 속 검색표 https://daehyo49.tistory.com/7812478 학명: Chamerion angustifolium (L.) Holub. /(국생지)Epilobium angustifolium L * Ephillobium에서 Chamerion으로 속이 이전되었다 분류: 바늘꽃과 (Onagraceae) 사진 : 오대산한국자생식물원 동속의 종들: 넓은잎바늘꽃(이명:산바늘꽃) Epilobium cephalostigma var. nudicarpum (Kom.) Hara 돌바늘꽃(이명:참바늘꽃) Epilobium cephalostig..

바늘꽃과 2009.08.02

참배암차즈기(1)

참배암차즈기(2)https://daehyo49.tistory.com/7813990참배암차즈기(1)https://daehyo49.tistory.com/7807392   학명:  Salvia chanryonica Nakai분류: 꿀풀과(Labiatae) 사진 : 오대산 한국자생식물원                   아래 사진 : 2012.09.16 가평           아래: 2021.06.27 가평 견치봉     동속식물:  깨꽃  Salvia splendens KerGawl.단삼  Salvia miltiorrhiza Bunge http://blog.daum.net/daehyo/7807394둥근배암차즈기  Salvia japonica Thunb.배암차즈기  Salvia plebeia R.Br. http:..

꿀풀과 2009.08.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