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치식물 465

느리미고사리(3)

느리미고사리(3)https://daehyo49.tistory.com/7816390느리미고사리(2)https://daehyo49.tistory.com/7815454느리미고사리(1) (톱지네고사리 종류들 종 비교표/검색표)https://daehyo49.tistory.com/7808796 학명 : Dryopteris tokyoensis Matsum.ex Makini) C, Chr,분류 : 관중과(Dryopteridaceae)일어명 : タニヘゴ(谷桫欏)중국어명 : 东京鳞毛蕨영명 : Sword-leaf wood fern  사진: 2024.10.03 광릉수목원    소우축이나 열편 중륵에 낭상인편이 없으면서 1회우상이고 우편이 천.중열하는 톱지네고사리 유형이다(6종: 애기톱지네고사리, 톱지네고사리,각시톱지네고사리,..

양치식물 2024.11.10

층층지네고사리(1)(반들지네고사리 유형 검색표)

층층지네고사리(2)https://daehyo49.tistory.com/7816503층층지네고사리(1)(반들지네고사리 유형 검색표)https://daehyo49.tistory.com/7816376층층지네고사리(제주지네고사리와 층층지네고사리 비교)(비공개)https://daehyo49.tistory.com/7811942반들지네고사리(2)(관중속 2회우상 지네고사리들의 검색표/종 비교표)https://daehyo49.tistory.com/7811481반들지네고사리(1)https://daehyo49.tistory.com/7809386   반들지네고사리로 올렸던 것을 층층지네고사리로 수정한다. 이 종류들의 동정은 매우 까다롭다  학명 : Dryopteris simasakii (H. Itô) Sa. Kurata v..

양치식물 2024.11.01

누른애기족제비고사리(3)

누른애기족제비고사리(3)https://daehyo49.tistory.com/7816372누른애기족제비고사리(2)https://daehyo49.tistory.com/7816219누른애기족제비고사리(1)(누른애기족제비고사리와 애기족제비고사리 비교)https://daehyo49.tistory.com/7816218 학명 : Dryopteris kobayashii Kitag.분류 : 관중과(Dryopteridaceae)일어명 : リョウトウイタチシダ  사진 : 2024.08.08 광릉수목원       아래 : 2024.10.24 여주황학산산림욕장 광릉수목원에서 본 것과 거의 같아 누른애기족제비고사리로 동정한다  누른애기족제비고사리 엽신은 좁은 삼각상으로길이/폭= 3/2-2/1)이고 우편 선단은 휘고 둔두애기족제비고..

양치식물 2024.10.29

돌토끼고사리(4)

돌토끼고사리(4)https://daehyo49.tistory.com/7816349돌토끼고사리(3)https://daehyo49.tistory.com/7814436돌토끼고사리(2)https://daehyo49.tistory.com/7811229돌토끼고사리(1)https://daehyo49.tistory.com/7809192검색표 돌잔고사리https://daehyo49.tistory.com/7811472깃돌잔고사리(비공개)https://daehyo49.tistory.com/7816364 학명 : Microlepia strigosa (Thunb.) C.Presl분류 : 잔고사리과 (Dennstaedtiaceae)일어명 : イシカグマ중국어명  : 粗毛鳞盖蕨 돌토끼고사리 참조 사이트http://plants.min..

양치식물 2024.10.17

Pteris wallichiana(왈리키아나봉의꼬리)(3)

Pteris wallichiana(왈리키아나봉의꼬리)(3)https://daehyo49.tistory.com/7816348Pteris wallichiana(왈리키아나봉의꼬리)(2)https://daehyo49.tistory.com/7813886Pteris wallichiana(왈리키아나봉의꼬리)(1)https://daehyo49.tistory.com/7810473 학명 : Pteris wallichiana J. Agardh분류 : 봉의꼬리과(Pteridaceae)  사진 : 2024. 07.31 여주 황학산수목원       아래 : 2024.11.15 물향기수목원    아래 : 2025.01.22 황학산수목원     FOC Pteris wallichiana J. Agardh, Recens. Spec. P..

양치식물 2024.10.17

참지네고사리(2)

참지네고사리(2)https://daehyo49.tistory.com/7816336참지네고사리(1)https://daehyo49.tistory.com/7815495참지네고사리(비공개)https://daehyo49.tistory.com/7811947관중속 2회우상 지네고사리들의 검색표/종 비교표https://daehyo49.tistory.com/7811481관중속 2회우상 지네고사리 종류들 비교-일본 자료https://daehyo49.tistory.com/7811941 학명: Dryopteris nipponensis Koidz.학명 이명: Dryopteris erythrosora (D.C.Eaton) Kuntze var. dilatata (Koidz.) Sugim.분류: 관중과(Dryopteridaceae)..

양치식물 2024.10.09

산개고사리(3)

산개고사리(3)https://daehyo49.tistory.com/7816335산개고사리(2)(개고사리와 산개고사리 비교)https://daehyo49.tistory.com/7814130산개고사리(1)https://daehyo49.tistory.com/7809961개고사리과 속 검색표/개고사리속 종 비교/개고사리속 검색표https://daehyo49.tistory.com/7808549  학명: Athyrium vidalii (Franch. et. Sav.) Nakai분류: 개고사리과(Athyriaceae)일어명 : ヤマイヌワラビ(山犬蕨)      사진 : 2024.07.28           근경: 짧고 비스듬히 서거나 직립하고 잎은 총생한다    아래 : 2024.08.08  광릉수목원   개고사리와 ..

양치식물 2024.10.06

비늘이끼(2)

구실사리(2)https://daehyo49.tistory.com/7814183구실사리(1)https://daehyo49.tistory.com/7807648비늘이끼(2)https://daehyo49.tistory.com/7816331비늘이끼(1)https://daehyo49.tistory.com/7809959구실사리(Selaginella) 종류 잎 세밀화 비교https://daehyo49.tistory.com/7811461 학명 : Selaginella remotifolia Spreng분류 : 부처손과   사진 : 2024.05.23 황학산수목원     잎은 측엽 2줄, 배엽 2줄이다.    왜구실사리, 선비늘이끼, 각시비늘이끼는 포자낭이 붙는 줄기가 직립하고 비늘이끼와 구실사리는 포자낭이 붙는 줄기도 옆..

양치식물 2024.10.02

개쇠뜨기

학명 : Equisetum palustre L.분류 : 속새과(Equisetaceae) 사진 : 2024.07.27 영월 장릉 물무리골      치편 가장자리는 흰색 막질이다.유사종인 물속새의 치편은  전체가 검은색이다    줄기의 빈 속은 줄기 지름의 4/5 이하이다 유사종인 물속새는 빈 속이 줄기 지름의 4/5 이상이다 줄기 능선은 5-10개라 하였는데 10개가 좀 넘어 보여  의심이 든다.유사종인 물속새는 줄기 능선이 15-25개이다     한국의 양치식물 설명 성상 : 하록성 다년초, 습생키: 20-60cm근경: 옆으로 길게 벋거나 곧게 서며, 마디가 있고 흑갈색이며, 마디에서 잔뿌리가 돋는다줄기 : 흔히 모여 자라며, 끝에 포자낭수가 달린다. 능선은 5-10개이고, 다소 뚜렷하게 도드라졌으며 옆..

양치식물 2024.09.26

고란초

학명 : Selliguea hastata (Thunb.) Fraser-Jenk.분류 : 고란초과 (Polypodiaceae)일어명 : ミツデウラボシ(鵞掌金星草)중국어명 : 金鸡脚假瘤蕨(금계각가류궐) * 고란초 이름의 유래는 ? 신라시대 원효대사가 천하를 돌아 다니다가 사비강(금강)에 이르러 물을 마시고는 그 맛에서 상류에 진란(眞蘭)과 고란(皐蘭)이 있음을 알았다. 이에 부소산에 들려 난을 보고 세상에 알렸다 하는데, 지금 진난은 없어지고 고란만이 몇 뿌리 남아 명맥을 유지하고 있다.   사진: 전주수목원            아래는 2012.06.16 ***에서                      아래: 2017.06.18 통영          아래: 2017.07.22 제주 선덕사           ..

양치식물 2024.09.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