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예.재배식물/ㅁ-ㅅ 75

스테비아

학명: Stevia rebaudiana Bertoni 분류: 국화과(Compositae) 학명 풀이: Stevia : 16세기 스페인의 식물학자이자 내과의사인 Pedro Jaime Esteverebaudiana : 19세기 파라과이의 회학자로 이 식물에서 당 성분을 추출한 Dr Rebaudi 원산지: 파라과이, 아르헨티나, 브라질 사진: 2012.12.15 양평들꽃수목원 꽃이 진 상태라 종 동정을 확실히 하기 어렵다. 표지판대로 이름을 올린다 Stevia 속은 약 240 종이 있으며 모두 북미 서부지방과 남미의 아열대및 열대 지역에 걸쳐 자라는 초본성 또는 관목성의 국화과 식물들이다. Stevia rebaudiana 는 Stevia 속 중 유일하게 천연 감미료가 추출된다. Stevia rebaudiana..

병솔나무 종류

학명: Callistemon sp. 분류: 도금양과(Myrtaceae) 학명 풀이: Callistemon: 아름다운 수술 영명: bottle brush 원산지: 오스트레일리아 사진: 2006.07.19 제주 여미지 식물원 아래 사진: 2012.12.08 광릉수목원 아래는 여미지식물원에서 찍은 것인데 '수양병솔꽃나무'로 되어 있다. 정확한 학명은 모르겠다. 사진: 2020.10.29 선유도 아래" 2021.05.31 노을공원 영어 위키 설명 Callistemon is a genus of shrubs in the family Myrtaceae, first described as a genus in 1814. The entire genus is endemic to Australia but widely cult..

서양지치

학명: Borago officinalis L. 분류: 지치과(Boraginaceae) 학명 풀이: Borago: 어원 불분명 officinalis: Official (used in pharmacological sense) 영명: Borage 원산지: 시리아 자라는 곳: 지중해 연안, 소아시아, 유러브 북아프리카, 남미에 귀화 꽃 색깔: 대부분 푸른색, 간혹 분홍색이 보임, 흰색이 있으나 이는 원예종임. 설명: 오이와 같은 상큼한 향기와 맛이 있어, 유럽에서는 잎을 샐러드용으로 사용하며, 잎은 그대로 또는 말려서 허브차나 수프에 향신료로 사용한다. 씨에서 추출한 기름은 리놀산이 풍부하여 갱년기여성에 좋다고 한다. 최근에는 주로 기름추출을 위해 대량으로 재배한다. 출처: http://cafe.daum.net..

삼각잎아카시아(Acacia cultriformis)(1)

삼각잎아카시아(1) https://daehyo49.tistory.com/7809145 삼각잎아카시아(2) https://daehyo49.tistory.com/7814702 학명: Acacia cultriformis A. Cunn. ex G. Don 분류: 콩과(Leguminosae) 학명 풀이: Acacia: 가시가 있는 cultriformis : 나이프 모양의 영명: Knife-leaf Wattle / Dogtooth Wattle / Half-moon Wattle / Golden-glow Wattle * wattle: 아카시아속 국내 유통명: 삼각잎아카시아 원산지: 오스트레일리아 사진: 인산식물원 * 야사모에 문의하였더니 서영님이 다변해주셨다. 이 자리를 빌어 감사드린다. 아래 꽃 사진은 위키에서 퍼왔..

붉은긴잎끈끈이주걱

학명: Drosera capensis L. 분류: 끈끈이귀개과(Droseraceae) 학명 풀이: Drosera: 그리스어 droseros '이슬이 맺힌' capensis: 남아프리카 희망봉의 영명: Cape sundew 원산지: 남아프리카 사진: 서울대공원 아래 꽃 사진은 위키에서 퍼온 것이다 사진 출처: http://upload.wikimedia.org/wikipedia/commons/9/96/Drosera_capensis_inflorescence_Darwiniana.jpg 설명: Drosera capensis, commonly known as the Cape sundew, is a small rosette-forming carnivorous species of perennial[1] sundew n..

박쥐란

학명: Platycerium 분류: 고란초과(Polypodiaceae) 학명 풀이: 그리스어 platys ‘broad’; keras ‘horn’ →사슴뿔같이 보이는 잎을 가리킴 영명: staghorn / elkhorn 원산지: South America, Africa, Southeast Asia, Australia and New Guinea 종수: 18종 사슴뿔처럼 생간 것이 생식엽이고, 콩팥처럼 생긴 것이 영양엽이나 원산지가 아닌 것에 번식시킬 때에는 pup라고도 부르는 이 영양엽을 잘라 무성번식시킨다고 한다. 아래: 2019.12.20 창경궁 설명: 나무 위에 붙어서 자란다. 덩어리 같은 뿌리줄기에서 2가지 잎이 모여 나온다. 하나는 영양엽(營養葉)으로 콩팥 모양이고 밑에서 뿌리줄기를 둘러싸며 흙을 감..

몬스테라(1)

몬스테라(2) https://daehyo49.tistory.com/7815986 몬스테라(1) https://daehyo49.tistory.com/7809069 학명 : Monstera deliciosa Liebm. 분류: 천남성과(Araceae) Monstera속은 천남성과(Araceae)에 속하는 속으로 60여 종이 있다. 아메리카의 열대 지역이 원산지이다. 초본이거나 20m 정도까지 자라는 상록성 덩굴나무이기도 하다. 잎은 어긋나며 , 짙은 녹색이고, 가죽질이며 길이 25-90cm, 폭 17-75cm이다. 엽신에는 종종 구멍이 나 있다. 꼬층 5-45c 길이의 육수화서에 달린다. 관엽식물로 실내에서 많이 키운다. 가장 많이 알려진 종인 Monstera deliciosa,의 열매는 먹을 수 있으며 맛..

세잎뿔남천

세잎뿔남천 학명: Mahonia trifolia 분류: 매자나무과(Berberidaceae) 사진: 천리포수목원 설명: Native to southeast Arizona to New Mexico and Texas; south into Mexico; this is among the largest of the Mahonias. Typically a large shrub; the largest on record is 26 x 15 feet with a trunk diameter of 8 inches. The evergreen leaves are composed of 3 to 7 leaflets up to 2 x 1 inches in size. The attractive foliage is gray-green ..

부탄잣나무(부탄소나무)(1)

부탄잣나무(부탄소나무)(2) https://daehyo49.tistory.com/7814230 부탄잣나무(부탄소나무)(1) https://daehyo49.tistory.com/7808911 학명: Pinus wallichiana A. B. Jacks 분류: 소나무과(Pinaceae) 우리나라에 소개되었던 이름: 부탄소나무 국표식 등재 국명 : 부탄잣나무 영명: Bhutan Pine, Blue Pine, 'Himalayan White Pine 사진: 천리포수목원 아래는 위키페디아에서 퍼온 구과 사진 사진 출처 http://en.wikipedia.org/wiki/File:Pinus_wallichiana_at_VanDusen_Botanical_Garden.jpg 설명: 보통 ‘부탄소나무Bhutan Pine'로..

실꽃풍년화(실목련) (1)

실꽃풍년화(2) https://daehyo49.tistory.com/7812012 실꽃풍년화(1) https://daehyo49.tistory.com/7808478 학명: Fothergilla gardenii L. 분류: 조록나무과(Hamamelidaceae) 학명 풀이: Fothergilla: 18세기 영국의사 John Fothergill의 이름에서 gardenii: 18세기 스코틀랜드 의사 Alexander Garden의 이름에서 영명: Coastal Witchalder, dwarf witchalder 원산지: 북미 사진: 광릉수목원 온실 나무 특징: This fothergilla species (sometimes commonly called dwarf fothergilla) is native to ..